연이은 물가 ‘고공행진’… 장바구니 채우기 겁난다<br/>농산물 가격 폭등에 전년비 9.7% 상승… 외식비도 17% ↑ <br/>정부 “7~8월 물가상승률 6%대” 지자체 등 안정 총력 대응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글로벌 경제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먹거리를 비롯한 서민물가가 급등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6%대 물가 상승을 전망하며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뚜렷한 해결책이 없어 당분간 고물가 행진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6일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4인 가구의 식료품과 식대를 합한 식비는 월평균 106만6천902원으로, 1년 전 97만2천286원 대비 9.7% 증가했다.
항목별로 보면 가계에서 장을 볼 때 지출하는 식료품·비주류 음료 구입비가 58만773원으로 전년보다 4.3% 늘었다. 식당 등에서 외식비로 지출하는 식대 역시 48만6천129원으로 1년 새 17.0%나 급등했다.
이같은 물가 상승 배경에는 먹거리의 주 원료가 되는 농산물 가격 상승이 한 몫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7일 열무 도매가격은 4㎏당 평균 8천532원이었지만, 1주일 만인 24일에는 평균 1만3천280원이 됐다. 1년 전(평균 8천384원)과 비교하면 무려 1.6배 높은 수준이다. 감자, 양파 등도 올해 봄철 가뭄의 영향으로 작황이 부진해 지난해에 비해 크게 오른 상황이다. 이달 24일 감자 20㎏의 도매가격은 4만480원으로 1년 전 2만3천660원보다 71.1% 올랐다. 양파의 경우 24일 기준 15㎏의 도매가격이 2만2천160원으로 1년 전의 1만530원보다 110.4% 비싸졌다.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가격 상승에 따른 재료비 인상이 누적된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외식 수요까지 늘어난 영향이다.
외식비 상승과 관련해 점심(런치)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결합한 ‘런치플레이션’이란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이처럼 물가가 끝없는 상승행진을 이어가자 정부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해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 국제 곡물가가 급등해 그 영향을 저희가 필연적으로 받고 있다”며 “7∼8월에 6%대의 물가 상승률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있으며 가능한 수단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포항시 등 지자체도 생활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포항시는 최근 이강덕 시장의 주재로 개최한 ‘생활밥상물가 안정을 위한 비상대책회의’에 대한 후속조치를 위해 물가안정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먼저 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물가 상황실을 구성하고 물가 상황판을 시장실, 부시장실 등에 설치함으로써 주요 품목별 가격변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유관단체와 함께 범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월 1회 물가점검회의를 개최해 생활물가 감시체계 강화와 물가 안정을 위한 민생경제 안정대책 신과제 발굴에 매진한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