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표가 행복이라는데 이의를 달 사람은 별로 없다. 행복해지고 싶어 하는 욕망의 크기에 따라 행복의 만족도는 개인별로 큰 차이가 날 수 있다.
사상가 벤담이 말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은 되도록 많은 사람이 행복을 누리는 사회를 뜻한다. 모든 사람에게 공평한 민주주의도 많은 사람이 행복을 누리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행복은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다.
그러나 누구나 행복을 갈구하지만 스스로 행복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많지가 않다. 행복해지는 비결을 모르는 탓일지도 모른다. 세계적 대문호 톨스토이는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저마다 다른 이유로 불행하다”는 말을 했다.
국가마다 국민이 느끼는 행복의 정도도 천차만별이다. 미국이나 영국, 일본 등 경제적 부국이라고 반드시 행복지수가 높은 것은 아니다. 국민이 행복할 수 있는 요소는 나라의 전통과 문화, 국민성 등 수많은 요소며 이로인해 완성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얼마 전 유엔산하 자문기관인 지속발전가능해법 네트워크가 각국의 행복지수를 조사해 보니 핀란드가 5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눈길을 끈 대목은 복지국가로 일컬어지는 북유럽국가들이 대체로 상위그룹으로 포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미국 16위, 영국 17위, 프랑스는 20위로 조사됐고 한국은 146개국 중 59위였다.
북유럽국가의 행복지수가 높은 비결에 대해 전문가들은 높은 사회적 신뢰를 먼저 손꼽았다. 정직한 국민성과 낯선 사람에 대한 믿음과 배려, 국가와 국민과의 상호신뢰가 복지사회와 연결되고 있다는 것이다.
대립과 갈등, 반목이 반복되는 우리나라가 배울 점이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