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엄마를 이해하는 방법

등록일 2022-03-29 20:02 게재일 2022-03-30 17면
스크랩버튼
엄마 역시 한 명의 인간이자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존재였음을…. /언스플래쉬

김혜진의 소설 ‘딸에 대하여’는 딸을 가진 엄마의 입장에서 쓰인 소설이다. 요양보호사로 일하는 주인공은 그 무엇보다 자신의 딸이 어렵다. 도무지 이해하기 힘든 행동들을 골라 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딸을 이렇게 표현한다. “딸은 내 삶 속에서 생겨났다. 내 삶 속에서 태어나서 한동안은 조건 없는 호의와 보살핌 속에서 자라난 존재. 그러나 이제는 나와 아무 상관없다는 듯 굴고 있다. 저 혼자 태어나서 저 스스로 자라고 어른이 된 것처럼 행동한다.”

주인공의 딸은 대학에서 시간강사로 일한다. 레즈비언이고 사회적 불의에 맞서 싸우는 인물이다. 그녀는 경제적인 이유로 자신의 애인과 함께 주인공의 집으로 들어온다. 주인공은 딸과 애인을 보며 생각한다. “이 애들은 세상을 뭐라고 생각하는 걸까. 정말 책에나 나올 법한 근사하고 멋진 어떤 거라고 믿는 걸까. 몇 사람이 힘을 합치면 번쩍 들어 뒤집을 수 있는 어떤 거라고 여기는 걸까.” 자신의 배로 낳았지만 완전히 낯선 사람인 것처럼만 느껴지는 딸을 들여다보는 일은 결국 “끊임없이 싸우고 견뎌야 하는 일상”을 지나보내야만 하는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것으로 나아가게 된다.

소설을 읽으면서 마음이 저릿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우리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감정의 어느 지점을 건드리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통상적으로 묘사되는 부모와 자식 간의 모습이 아님에도 우리는 이들의 상황과 태도에 공감한다. 소설 속 주인공은 무조건적인 사랑과 희생의 방식으로 그려졌던 어머니가 아니며 딸은 부모에게 연민을 내보이지 않는다. 소설에서는 전혀 다른 영역에서 살아가는 이들이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충돌하는 영역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를 통하여 자신의 시선으로서는 가닿기 힘든 영역을 마주치게 되는 것을 그린다.

돌아보면 나와 엄마의 사이도 그랬다. 우리에게도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시기가 있었다. 특히 내가 사춘기를 지나오면서 우리의 불화는 절정에 달했다. 엄마는 항상 내 행동에 제약을 거는 존재였으며 마치 일부러 나를 괴롭히려는 것처럼 보이기까지 했다. 우리는 자주 언성을 높이고 싸우곤 했었는데 그 내용은 다시 생각해도 정말 유치하기 짝이 없었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엄마는 내게 ‘왜 하교를 했는데도 교복을 있느냐’는 잔소리를 했고 그러면 나는 ‘내가 무슨 옷을 입고 다니든 엄마가 무슨 상관이냐’고 응수하곤 했다. 혹은 엄마는 내게 ‘양말을 뒤집어서 벗어놓지 말라’고 했고 나는 ‘중요하지 않은 문제로 꼬투리를 잡는다’고 반박했다. 엄마는 내게 기본적인 생활 태도를 가르치려 했던 것이고 나는 엄마가 나를 통제하려 든다고 생각했었다. 우리의 대화는 본질로 향하지 못하고 언저리만을 뱅뱅 돌았다. 서로의 생각을 정확하게 바라보려는 노력을 하지 않은 채로 불만을 토로했고 자신의 의견을 관철시키기 위해서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모했다.

특히 내 쪽이 그랬다. 태어난 순간부터 지금까지도 엄마는 계속해서 엄마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엄마에게도 자신만의 신념이 있고 기분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엄마는 엄마이기 때문에 당연히 나를 이해해야 한다’는 생각이 얼마나 오만한 것이었는지 깨닫기 까지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우리가 엄마와 딸의 관계를 넘어서서 인간과 인간의 관계로 나아가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한 순간 많은 것이 달라졌다. 엄마는 나의 모든 것을 이해해야 하는 존재가 아니었다. 그녀는 단지 한 명의 인간이자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존재였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소설을 쓰다보면 타인에 대한 이해는 필연적으로 깊어질 수밖에 없었다. 소설을 쓰는 입장으로서는 이야기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을 헤아려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시선은 도저히 가 닿을 수 없는 타인으로까지 향하게 되는데 그건 무척이나 고단하면서도 유의미한 일이다. 나로서는 납득하기 힘든 이상한 선택을 하게 되는 인물을 내 손으로 그리면서도 몇 번이나 고개를 갸웃했었다. 그러나 끝끝내 그러한 인물마저도 끌어안게 되고 어쩔 수 없음의 영역을 경험하게 된다. 모두가 불완전한 존재들이며 무차별적으로 다가오는 삶의 폭풍 속을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헤쳐 나가는 중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의 방식에는 나와 엄마도 대입할 수 있다. 엄마와 나는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존재다. 우리는 한 집에서 살았지만 각자 다른 생각을 했다. 매일매일 다른 체험을 하고 상반된 감정을 겪었다. 이토록 이상하고 특별한 관계 속에서 우리는 서로를 부인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앞으로도 우리는 서로를 알아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지만 몇 번이나 실패할 지도 모른다. 그러면서 엄마와 나의 세계는 조금씩 확장될 것이다. 어렵지만 기대되는 일이다. 관계를 맺는다는 건 그런 것이니까.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