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비판하기의 책임감

등록일 2021-12-14 18:47 게재일 2021-12-15 16면
스크랩버튼
타인의 장점을 찾아내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Pixabay
타인의 장점을 찾아내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Pixabay

글을 쓴다는 직업의 특성상 내 글에 대해 타인의 의견을 듣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잘 보았다는 인사치례 정도의 말이 대다수이지만, 개중에는 나의 글을 세밀하게 읽고 문제점을 지적해주는 고마우신 분들도 있곤 한다. 그런 의견을 들을 때면 소중한 독자라는 생각에 감사한 마음이 들기도 하지만, 때로는 그런 지적들에 괜시리 서운한 마음이 들어 마음에 상처를 받곤 한다. 비판과 비난은 다르다는 걸 알고는 있지만, 내 귀는 종종 비판과 비난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상에 대해 이성적으로 면밀하게 분석하고 그로부터 문제점을 찾아낸 후 이를 개선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비판이라면, 비난은 대상을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에 대해 감정적으로 힐난하는 태도를 말하는 것이겠다. 분명 이렇게 정의를 내리고 보면 둘을 구분하는 건 매우 간단한 일처럼 느껴지지만, 현실에서 이 둘을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건설적인 비판을 가장하고 대상을 깎아내릴 뿐인 경우도 적지 않으며, 비난하듯 감정적인 표현들이 뒤섞여 있지만 그 이면엔 대상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전제돼 있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단순한 비난인지, 혹은 조금은 감정적인 비판인 것인지를 구분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문제는 그것만이 아니다. 비판은 수용하고 비난은 멀리하라는 건 누구든 알고 있지만, 그건 내가 나의 마음을 지킬 힘이 있을 때의 이야기다. 지치고 힘든 순간이면 타인의 비판은 얼마든지 내 마음을 꺾어버릴 방아쇠가 될 수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우리는 종종 타인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그저 내가 그러한 문제점에 대해 파악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 지적인 우위를 강조하기 위해 타인의 작품에 대해 마치 폭로하듯 문제점을 지적하곤 한다. 그러한 나의 행동이 나의 가치를 올려주기라도 한다는 듯 말이다.

내 주변에도 그런 사람이 적지 않은데, 이런 이들과 함께 한다는 건 참 피곤한 일이다. 한낱 식사를 하더라도, 그 음식에 대해 평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더 나은 사례를 말하느라, 그들은 종종 내가 자신과 함께 식사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곤 한다. 그것뿐이라면 다행이겠으나, 이런 종류의 평가들은 대개 그것을 만족하며 먹는 이를 향해 “네가 제대로 하는 집을 안 가봐서 그래”라는 비난 아닌 비난으로 끝맺는 경우가 많아 함께하는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만들곤 한다.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건 비판이 단지 대상에 대한 문제점을 꼬집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비판이라는 건, 타인에 대해 말한다는 건, 다른 대상에 대해 말한다는 건 생각 이상의 책임을 요구한다.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문제점이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그 말을 듣게 될 타인이 경험하게 될 감정적 소요에 대한 책임. 비판을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그런 이야기를 할 때에는 태도와 말을 잘 정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엄한 것과 무책임한 것은 다르다. 굳이 일침을 날린다며 치명적인 것처럼 보이는 말들을 할 필요는 없다는 이야기다. 만약 내가 당신의 비판을 받아들이길 원한다면, 내가 받아들일 수 있도록 최소한의 책임감은 가져달라는 부탁이기도 하다.

어쩌면 이런 나의 태도 자체가 굉장히 유아적인 것일지도 모르겠다. 남에게 지적받고 싶지 않고, 평가받고 싶지 않은 그런 아이 같은 생각에 불과한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너는 더 잘할 수 있잖아’라는 식으로 무책임한 비판과 비난을 듣는 것이 때로는 나를 지치게 만든다. 왜 나는 구태여 글을 쓰고 있는가라는 회의감이 몰려올 정도로 말이다.

임지훈 2020년 문화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된 문학평론가. 한양대 국문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임지훈 2020년 문화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된 문학평론가. 한양대 국문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사실 나는 더 잘하고 싶다는 생각보다 근근이라도 꾸준히 잘 해나가고 싶은 것이고, 그런 종류의 비판이야 다른 사람을 통해서도 들을 수 있다. 힘들고 지친 사람에게는 아주 간단한 칭찬도 때로는 구원이 되기도 하는 법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타인의 취향과 작품에 대해 평가할 때면 자신에 대한 것보다 수십 배는 엄격해져 무책임한 비판을 쏟아내기 일쑤다. 마치 창작을 하는 사람보다 그것에 대해 비판하는 자신이 더 우위에 있다는 것처럼.

사람들은 때로 무언가를 만들거나 앞에 나서는 사람이라면 그런 것들은 감수해야 한다는 듯이 말하지만, 그건 무언가를 만들어본 적도, 앞에 나서 본 적도 없는 사람의 태도가 아닐까 싶다. 타인의 문제를 지적하는 건 생각보다 쉬운 일이다. 정말로 어려운 건 타인의 장점을 찾아내는 일이다. 쉬운 일을 하는 것이 자신을 타인보다 우위에 서게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누군가 자신을 증명하는 건 그 사람이 어려운 일을 해냈을 때지, 쉬운 일을 반복할 때가 아니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