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면역이란 집단 대부분이 감염병에 대한 면역성을 가졌을 때 감염병의 확산이 늦어지거나 멈추게 되면서 면역성이 없는 개인이 간접적 보호를 받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1930년대 많은 어린이가 홍역에 대한 면역성을 가지게 되는 과정이 과학자들에 의해 관찰되면서 집단면역의 효능이 입증됐다.
1977년 지구상에서 사라지게 된 천연두는 집단면역의 결과다. 18세기 유럽에서만 천연두로 인한 사망자가 한 해 40만 명에 달했다. 치사율 30%의 전염병이 집단면역 효과로 지구를 떠난 것이다.
LA타임스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전문가의 말을 인용하며 “전 인구의 70∼85%가 백신을 맞으면 집단면역이 형성돼 팬데믹의 종식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던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라 보도했다. 세계 최초로 접종률 60%를 달성했던 이스라엘이나 유럽의 여러 나라들도 높은 접종률에도 불구, 코로나 신규 확진자 증가를 억누르지 못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80%의 접종률을 유지하고 있으나 신규 확진자는 연일 최다치를 경신하고 있다. 중증환자와 사망자도 최대치로 증가하고 있다. 집단면역 형성으로 코로나19 종식을 학수고대했던 국민 모두의 꿈이 물거품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델타 변이에 의한 돌파감염 사례가 빈발한 가운데 최근에는 델타변이 보다 전파력이 훨씬 센 오미크론의 등장으로 코로나 팬데믹 종식을 위한 집단면역이 무력화된 것 아니냐는 비관론도 나온다. 백신접종은 병세 악화를 막는 정도에 그쳤다는 것이다.
미국의 전문가들도 집단면역 실패를 인정하는 분위기로 “코로나19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많지 않다”고 말을 아낀다고 한다. 온 국민이 고대했던 집단면역 날 새고 만 것일까.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