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낭만이 사라진 세계에서

등록일 2021-11-16 19:38 게재일 2021-11-17 16면
스크랩버튼
영화 ‘강릉’의 포스터.

한국 영화에서 ‘느와르’라는 장르는 더 이상 한때의 유행이 아니다. ‘초록 물고기’, ‘비트’에서부터 ‘친구’를 거쳐 ‘비열한 거리’, ‘신세계’, ‘차이나타운’, ‘불한당’과 ‘아수라’에 이르기까지, 범죄 조직을 소재로 하는 느와르 영화는 이미 한국 영화의 한 축이 되었다. 현실의 부정함과 비정함에 대해 폭력으로 응수하는 느와르의 문법은 우리가 현실에서 상상하지만 감히 실현하지 못하는 것을 저지르고, 비록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할지라도 자신의 욕망에 끝까지 충실하고자 분투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그 속에서 유오성은 빼놓을 수 없는 배우인데, 한국형 느와르의 정점을 찍은 ‘친구’에서 준석을 통해 보여준 그의 연기는 이후 수많은 느와르 영화에서 등장하는 인물 연기의 교본이 되었다. 우정과 의리, 그리고 비정함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비극 속에서, 그의 천부적인 표정 연기는 느와르적 인물이 취해야 할 감정연기의 표본을 제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그가 최근 ‘강릉’이라는 영화를 통해 느와르 장르에 다시 복귀했다. 여기에서 유오성은 그간 보여준 연기 경력을 느와르라는 틀 속에 모두 녹여낸 것 같은 표정 연기를 보여준다. 그가 연기한 길석이라는 캐릭터는 이전의 유오성식 느와르 연기와는 분명 결이 다르다. 비슷한 위치에 놓인 인물과의 정쟁으로부터 빛을 발하던 이전의 인물 연기와 달리, 여기에서 길석은 조직 내에서 든든한 아우이자 형이라는 다소 다른 인물로 제시된다. 그 속에서 유오성은 의리와 우정을 중요시 여기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의 규율을 위해 상대를 단죄해야만 하는 인물을 충실하게 연기해낸다.

여기에서도 다시금 빛을 발하는 것은 그의 표정 연기다. 첫 장면에서부터 바다를 배경으로 진한 파랑 계열의 톤 속에서 터져나오는 그의 표정 연기는 영화 전체를 압축해놓았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무게감을 갖고 있었다. 이후로도 그의 표정 연기는 영화의 터닝 포인트마다 등장하여 그 장면의 개연성을 표정만으로 납득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인 해안도로의 격투 장면에서부터 리조트의 옥상 장면에 이르러서는 이전까지의 스토리란 바로 이 장면의 유오성의 표정 연기를 위한 하나의 장치였다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그 속에서 유오성은 길석의 입을 빌어 ‘더 이상 낭만은 없다’고 말하며 경쟁 조직의 두목을 무참히 칼로 찌른다.

영화를 모르는 평자의 평이겠으나, 사실 영화로서의 ‘강릉’은 좋은 작품이라 하긴 어렵다. 기존의 영화들을 통해 반복된 느와르의 문법에 충실하고자 노력하지만 개연성의 부족으로 인해 번번이 극적 긴장을 상실하며, 개연성의 부족을 학습된 관객의 느와르적 감각에 의존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인물의 설정과 그들 사이의 관계는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게임의 설정처럼 강제로 주입된다. 그렇다보니 인물의 성격과 심정을 유추할 수는 있으나, 몰입되지는 않는다. 이는 영화의 전체적인 플롯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영화는 관객에게 플롯이 가지는 내적인 개연성을 설명하고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느와르적 문법에 대해 알고 있으리라 가정하며 그것에 기대어 따라가려는 경향을 보여준다.

임지훈 2020년 문화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된 문학평론가. 한양대 국문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임지훈 2020년 문화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된 문학평론가. 한양대 국문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그런데 영화의 마지막 장면의 길석의 대사를 듣고 나면 왠지 그 모든 것이 사실은 하나의 의도적인 장치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 예컨대 우리가 기대하는 의리와 조직의 규율, 그로인해 초래되는 비극이란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현실은 ‘돈’ 때문에 벌어지는 한 편의 살인극에 불과하다는 것. 영화가 여러 개연성을 위한 장면을 생략한 것은 그것을 보여주지 않은 게 아니라 더는 그와 같은 것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생각 말이다. 우리가 느와르를 통해 기대하는 것들은 하나의 낭만에 불과하고, 현실은 돈 때문에 벌어지는 멋없고 잔인하며 무정할 따름인 피바다에 불과하다는 것, 어쩌면 그게 감독이 전달하고 싶었던 영화의 의미였던 것은 아닐까.

그래서 영화가 끝났을 때, 나는 영화의 첫 장면을 곱씹을 수밖에 없었다. 유오성이 길석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보여준 표정의 의미는 이런 것이 아니었을까. 이 모든 의리와 우정이 낭만에 불과한 것이 되어버린, 그런 낭만마저도 돈에 휩쓸려 사라져버린 세계에서 그것이 아직 건재하게 살아있다는 ‘척’을 해야만 하는 인물의 슬픔. 우리가 그나마 인간으로서 살아가기 위해선 그것들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진심으로 믿는 척을 하며 사는 수밖에 없다는 메타 픽션적인 교훈 말이다. 어쩌면 그것이 신이 사라진 세계에서 양심을 지키며 살아가는 유일한 방법일지도 모르리라.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