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특별함’

등록일 2021-10-20 18:58 게재일 2021-10-21 18면
스크랩버튼
박상영 ​​​​​​​대구가톨릭대 교수
박상영 ​​​​​​​대구가톨릭대 교수

얼마 전, 2년 반을 사귀다 마침내 늦깎이 결혼을 한다며 준비가 한창이던 지인 하나가 갑자기 무슨 수가 틀렸는지 안 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해 왔다. 알고 본즉, 결혼할 사람이라고 또 사랑하니까 많이 퍼주고 하다가 결국 덩그러니 밑둥치 하나만 남은 ‘아낌없이 주는 나무’ 신세가 돼버린 것이었다. 소설 속 나무는, 그래도 노년이 돼 돌아온 소년과 짧은 시간이라도 보냈지만, 현실 속 나무들은 만신창이가 된 자신과 마주해야 하니 이 얼마나 서글픈 일인가.

그런데 왜 사람들은 잘해 주는 상대를 그리 헌신짝 대하듯 할까? 물론 안 그런 사람도 있지만, 상대의 ‘베풂’을 당연한 권리로 인식하거나 예전만큼 베풀지 않으면 도리어 서운해하거나 화를 내고 심지어 상대를 무시하는 사람도 부지기수다. 애초부터 인성이 시쳇말로 ‘글러 먹어서’ 그렇다면 할 말 없지만, 평범한 이들조차 사실 그런 경우도 많은 것은 왜일까? 그것은 바로 상대에 대한 존중과 존경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누군가에 대한 존중/존경은, 타자와는 다른 그 사람만의 특별한 가치를 발견할 때 자연스레 생겨나는 법이다.

옛말에, ‘夫婦有別’이라는 말이 있다. 이때 ‘別’은, 조선조 대학자인 한원진과 정약용이 “각자 제 남편/아내를 두고서 난잡하지 않은 것”이라 해석한 데서 보듯, 성 윤리에 대한 단서다. 즉, 남자 또는 여자로서의 성 역할에 대한 ‘구별’보다는, 상대방을 ‘각별/특별’히 인식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 선조들은 내 짝에 대한 특별한 감정은 타인에 대한 마음과 같을 수 없다고 보아, 다른 아낙/남정네들과의 情事를 극도로 꺼렸으며, 설사 그러한 일이 발생하면 윤리에 어긋난다고 보아 크게 지탄하기도 했던 것이다.

그런데 상대에 대한 이 ‘특별함’은, 발견하는 사람의 안목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갖추기 위한 사람의 노력 또한 중요하다. 조선조 학자 유희춘의 아내 송덕봉이, 서너 달 다른 부임지에서 기생을 멀리함을 자랑한 남편의 편지에, ‘이를 두고 고결하다며 덕을 베푼 생색을 낸다면 당신도 분명 담담하여 사심없는 사람은 아닐 터. 마음이 깨끗해 밖으로 유혹을 끊고 안으로 삿된 생각이 없다면 어찌 꼭 편지를 보내 공치사를 한 뒤에야 남들이 알아주겠습니까?’라며 일침을 가한 일화는 유명하다. 당신이 나를 아내로서 ‘특별히’ 여긴다면, 기생을 안 만남이 당연한데, 뭐 그리 자랑삼느냐는 명확한 태도에서 여성으로서의 기품과 범접할 수 없는 품위가 확연히 드러난다. 이처럼 ‘특별함’은 바로 스스로가 스스로의 바운더리를 명확히 하고 그 가치를 지키는 데서 빛나는 법이다. 오래 전 사석에서, 모 사업가가 애인 없어 속상하다는 푸념을 하자, 다들 ‘요즘 시대에 애인 없으면 바보’라며 놀린 일이 있었다. 웃자고 한 말이었지만, 배우자에 대한 특별함을 망각한 시대의 한 단면이라 웃프지 않을 수 없었다. 바야흐로 10월, 몸도 마음도 풍성한 이 멋진 계절 가을엔, 그동안 소홀히 해 왔던 내 짝에 대한 ‘특별함’을 한번 발견해 보면 어떨까? 또 나만의 ‘특별함’을 가꾸는 노력도 한번 해 보면 어떨까? 지금까지와는 또 다른 인간관계의 참맛을 느낄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니 말이다.

여성칼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