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1970년 초등학생 574만명서 현재 267만명으로 절반이 감소

이시라기자
등록일 2021-09-30 19:25 게재일 2021-10-01 13면
스크랩버튼
위기의 시골학교, 절망 속에 피어난 희망<br/> 1. 소멸 위기에 놓인 시골학교의 현실
청성초 학생들이 옥천군 청성면에 위치한 포도다래 연구소를 방문해 현장 체험학습을 하고 있다. /청성초 제공
청성초 학생들이 옥천군 청성면에 위치한 포도다래 연구소를 방문해 현장 체험학습을 하고 있다. /청성초 제공

최근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전국적으로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학생 수 감소에 따른 학교 존폐문제는 정규교육과정의 첫 시작인 초등학교부터 시작된다. 학령인구 감소는 수도권보다는 비수도권, 비수도권 중에서도 지방 중소도시에서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이른바 ‘시골학교’라 불리는 농촌지역 초등학교들은 분교로 격하되거나 폐교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본지는 폐교위기에 놓였던 시골학교가 여러 가지 방안 모색으로 인해 되살아난 사례를 찾아보고 경북지역 학교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글 싣는 순서

 

1. 소멸 위기에 놓인 시골학교의 현실

2. 시골학교에서 부르는 희망노래Ⅰ

3. 시골학교에서 부르는 희망노래Ⅱ

4. 경북도교육청 작은 학교 자유 학구제 명과 암

5. 지속 가능한 시골학교 상상 아닌 현실로

 

학령인구 감소 비수도권서 두드러져

40년간 전국 폐교 초·중·고, 3만8천55개교

전남 21%로 가장 많고 경북이 다음 이어

 

충북 옥천 청성초·경남 거창 신원초

분교·폐교 수순 위기였지만

지역민·지자체 ‘학교살리기’ 두팔 걷어

학생 유입 실질적 성과로 전교생 증원

 

경북교육청, 2019년부터 ‘작은학교 학구제’

첫 해 29개 학교 대상 시범 운영 결과

작은학교로 134명 유입 학교당 평균 4.6명 ↑

과밀학급 해소·작은학교 살리는 ‘윈윈전략’

올해 전체 143개 학교로 확대 시행

신원초 학생들이 SW수업을 통해 센서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센서를 이용해 작품을 만들어내는 활동을 하고 있다. /신원초 제공
신원초 학생들이 SW수업을 통해 센서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센서를 이용해 작품을 만들어내는 활동을 하고 있다. /신원초 제공

□소멸 위기에 놓인 시골학교의 현실

교육부가 실시한 ‘2021년 교육기본통계 결과’자료를 살펴보면 올해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체 학생 수는 595만7천87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0.9%(5만2천919명) 감소한 수치다.

1970년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 수는 574만9천301명을 기록했다. 이후 2000년에는 401만9천991명으로 무려 70여만명이 줄어들었고, 2010년 329만9천94명, 2015년에는 271만4천610명으로 해마다 감소했다. 이후 2019년 274만7천219명에서 2020년 269만3천716명으로 잠시 늘어났지만, 이마저도 올해 267만2천340명으로 다시 줄어들었다. 1970년 당시와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인 것이다.

안타깝게도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인구를 예전 규모로 다시 회복시킬 수 있는 물리적 대안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사람이 떠난 자리에 학교와 같은 기반시설들마저 사라지게 된다면 마을을 다시 찾는 사람은 대폭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학령인구 감소는 인구가 집중된 수도권 보다는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은 비수도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비수도권 지역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은 농어촌 지역에서 학령인구 감소는 폐교라는 최악의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40년 동안 전국에서 폐교된 초·중·고등학교는 3만8천55개교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폐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남으로 전체 문을 닫은 학교의 21%인 833개교를 차지했으며 바로 그다음이 경북(732개교), 경남(582개교), 강원(464개교) 순이었다.

올해도 전국에서 6곳의 학교가 ‘재학생이 1명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휴·폐교에 들어갔다. 폐교된 학교 다수가 가진 공통점은 규모가 작은 농산어촌지역을 중심으로 위치해 있다는 것이다.

저출산 현상이 심화하면서 학령인구가 꾸준히 줄어드는 가운데 2023학년도부터 향후 5년간 초등학교 입학 인원은 해마다 감소해 현재의 ⅔수준으로 급격하게 감소할 전망이다.

2022학년도까지 42만명대인 초등학교 입학 인원은 2023년도부터 4년간 3만2천명, 4만8천명, 3만명, 2만4천명으로 계속 떨어지는 추세다. 2026학년도에는 초등학교 입학생이 29만5천명으로 대폭 감소한다.

한국교육개발원 통계에 따르면 2020년 4월 기준 전교생 60명 이하 소규모 초등학교는 전국적으로 1천488개교로 집계됐다.

특히 경북지역의 경우에는 231개교로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소규모 초등학교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옥천군이 지난 8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1 지역수요 맞춤지원 공모사업인 ‘청성면 산성문화마을 주거플랫폼 구축사업’에 선정돼 사업비 85억원을 확보하는 쾌거를 거뒀다.  /옥천군 제공.
옥천군이 지난 8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1 지역수요 맞춤지원 공모사업인 ‘청성면 산성문화마을 주거플랫폼 구축사업’에 선정돼 사업비 85억원을 확보하는 쾌거를 거뒀다. /옥천군 제공.

□‘시골학교 살리기 운동’이 불러온 기적

입학생이 없어 폐교 위기에 처한 농촌지역의 학교들이 갈수록 느는 가운데 ‘시골학교 살리기 운동’이 전국 지자체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에 부응하듯 ‘학교를 살리자 마을이 되살아났다’는 반가운 소식이 지역 곳곳에서 울려 퍼지고 있다.

일례로 1932년 3월 개교한 충북 옥천 지역에 청성초는 1970∼1980년 베이비 붐 세대들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이던 시절 전교생이 한때 1천여명에 이를 정도로 학생 수가 많았다.

그런데 1990년대 말부터 이촌향도 현상이 발생하며 인구 유출이 장기화했고, 결국 지난해 전교생이 16명을 기록하게 됐다.

문제는 전교생이 20명인 상황이 3년 동안 지속될 경우 학교를 분교로 격하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에 지역 주민과 옥천군·총문회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청성초 살리기’ 운동에 두 팔을 걷고 나섰다.

이들은 전국에서 유일한 정주 여건과 지원금을 함께 지원하는 ‘교육지원 정책’을 만들었다. 청성초는 숙소 무료 제공, 전교생 장학금 지급 등 각종 파격 혜택을 내세우며 적극적인 홍보를 펼쳤다. 전국의 맘 카페는 물론 학부모 모임 동아리, 교육자 모임 동아리 등 학생들과 관련한 모든 전산망에 홍보를 진행했다.

이후 지난 8월 기준 8가구, 모두 10명의 학생이 이주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또 9월께 2가구의 이주로 학생 2명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여 당분간은 분교 격하에 대한 걱정은 한시름 덜어 놓은 상황이다.

경남 거창군의 신원초등학교도 지난해까지만 해도 올해 입학생이 없어 5학급으로 줄어들 위기에 놓여 있었다. 학교는 유치원 아이들의 수가 3명밖에 되지 않아, 앞으로 3∼4년 뒤면 자연스럽게 분교와 폐교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는 처지였다.

이 같은 상황을 알게 된 지역 주민과 동문회는 아이들을 유입 위해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을 전개했고, 그 결과 올해 3명의 입학생이 신원초등학교에 입학했다. 입학생뿐만 아니라 유치원생과 2학년, 3학년 학생도 늘어 20여명 남짓했던 전교생 수가 유치원생을 포함한 무려 32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올해 신원면에는 네 가정이 전입했으며 앞으로 두 가정이 추가로 전입할 예정이어서 신원면 인구 또한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28명이 더 증가했다.

신원면의 인구증가 및 신원초 학생 수의 증가는 거창군과 협업해 학교에서 자체 계획을 수립하고, 과감한 학생 복지 및 시설 투자를 통해 학생들을 유치한 노력에서 이뤄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경북지역의 시골학교 살리기 현주소

경북도교육청은 소규모 학교를 살리기 위한 방안으로 2019년부터 ‘작은 학교 자유 학구제’를 도입하며 작은 학교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작은 학교 자유학구제는 작은 학교 학구를 큰 학교 학구까지 확대해 큰 학교 학생들이 주소이전 없이 작은 학교로 일방향 전·입학이 가능하도록 학교 선택권을 주는 제도다.

2019년 첫해 2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 결과 작은 학교로 134명이 유입돼 학교당 평균 4.6명의 학생이 늘어나는 효과를 얻었다.

경북도교육청은 올해 자유학구제 운영대상학교를 143개 학교로 확대하고 작은 학교를 살리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하지만, 이 같은 교육청 차원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 주민과, 지역 기관단체 교직원들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가고 싶은 학교’를 만들기 위한 자구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누구 하나의 노력만으로는 이 같은 성과를 달성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경북도교육청 관계자는 “자유학구제는 지역 내 과밀학교나 학급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작은 학교를 살리는 ‘윈윈(Win-Win)’전략으로 생각한다”며 “작은 학교 자유학구제의 안정적인 정착과 활성화로 농산어촌의 작은 학교가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하게 해 도농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