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월성 동쪽에 황룡사는 어떻게 지어졌나?

등록일 2021-09-06 19:36 게재일 2021-09-07 17면
스크랩버튼
남쪽에서 바라본 황룡사.

고려시대 시인 김극기는 시 ‘황룡사(皇龍寺)’에 ‘층층이 사다리 휘감아 하늘로 오르려하니 주변의 온갖 산수들 한눈에 들어오네...(생략)... 동도를 굽어보니 수많은 집들 벌집이나 개미구멍인양 더욱 아득하네’라고 표현하였다. 선덕여왕 때 세워진 황룡사 구층목탑을 의미할텐데 구층목탑을 올라갈수 있는 사다리가 있었는지 없었는지에 대한 논란은 뒤로하고 얼마나 높았으면 집이 벌집이나 개미구멍처럼 보였을까 하고 궁금해진다. 신라 경문왕 12년(872년)에 황룡사 목탑을 중수하면서 심초석 사리공 사리내함에 새긴 기록 찰주본기(刹柱本記)에는 ‘(탑의) 철반 이상은 높이가 7보이고 그 이하는 높이가 30보 3자이다’라고 하는데 지금의 기준으로 환산하자면 약 80m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니 올라서서 내려다보면 그렇게 보일만도 하다. 구층목탑의 규모만 보더라도 황룡사는 신라사찰의 가장 큰 규모의 국가사찰이자, 호국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황룡사는 신라 진흥왕 553년부터 고려 고종 1238년 폐사되기 전까지 약 680년 동안 이어진 호국사찰이었다. 단일 사찰이 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몇백 년 동안 명맥을 이어져오기란 쉽지 않다. 황룡사가 오랫동안 장수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그 비결의 실마리를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에서 찾을 수 있는 건 아닐까? 고려시대 편찬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그 어떤 사찰보다 황룡사에 대한 창건부터 중수, 폐사에 이르기까지 관련된 기록이 자주 등장한다. 그만큼 국가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으리라.

창건과 관련된 기록에는 “553년 2월 진흥왕이 월성 동쪽에 궁궐을 짓고자 했으나 황룡(黃龍)이 나타나 이를 의아하게 생각하여 사찰을 짓고 황룡사(皇龍寺)로 했다”는 것이다. 즉, 원래 황룡사가 자리한 곳은 궁궐을 짓기 위함이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사찰로 사업변경이 이루어진 것이다.

황룡사는 국가의 계획하에 국가 주도로 건립된 국찰이었고, 당시 불교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 사찰로 백고좌회(百高座會·국가적 행사로 개최된 큰 법회), 연등회 등 중요한 국가행사를 담당한 곳이기도 했다. 진흥왕의 염원을 품고 건립된 이후 안타까운 폐사를 맞이하기까지 신라인의 마음속에 황룡사는 단순히 종교적 의미의 사찰뿐 아니라 신라인들의 정신이 투영된 곳으로 고려시대로 왕조가 바뀌었어도 사찰이 갖는 의미는 쉽사리 사라지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 황룡사가 고려시대 몽골의 침입으로 불탔을 때 당시 사람들의 심정은 어떠했을지.

그렇다면 황룡사는 지금의 자리에 어떻게 건립되었을까? 지금의 황룡사는 위엄 있었을 건물지와 함께 금당에 자리 잡고 있었을 장육존상 그리고 구층목탑의 웅장함은 볼 수 없지만 큰 주춧돌과 대석을 통해 옛 황룡사의 전성기를 짐작할 수 있다. 발굴조사 결과를 통해 황룡사의 면적은 약 8만㎡ 이상으로 확인되었는데 면적만 보더라도 당시 황룡사가 얼마나 거대했을지는 상상이상일 것 같다. 그런 황룡사가 세워지기까지 단순히 건물을 짓기 위해서만 많은 공력이 들어간 것은 아니다. 즉, 황룡사가 들어서기 위한 부지를 조성하기 위해 수많은 인력과 재료 그리고 시간을 쏟아낸 대공사는 불가피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976~1983년 문화재연구소에서 진행한 발굴조사에서 황룡사가 들어선 일대는 본래 저습지였음이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즉, 군데군데 늪지처럼 물이 고여 있어 사람이 거주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버리진 땅을 당시 사람들은 흙과 돌을 날라 채워가며 지금의 황룡사 부지를 조성하였다. 이를 황룡사 ‘대지조성층’이라 부르는데 성토된 깊이가 2m가 넘는 곳도 있다. 조성방법 또한 주목 할 만하다. 건물을 세울 때는 건물지의 무게를 버티기 위해 기반을 다지는데 주변의 흙을 깎아 평탄화 시키거나 부족한 흙은 가져와 기초를 다진다. 황룡사는 습지였기 때문에 군데군데 웅덩이처럼 모여있는 물 위로 돌과 흙을 부어 성토하였다. 성토 방법은 다양하지만 황룡사는 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흙을 부어 점차적으로 대지를 넓히는 방식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발굴조사 결과를 보면 본존불을 모시는 금당의 경우 경사성토된 곳을 다시 굴착한 후 수평으로 다시 흙을 반복하여 판축하여 건물을 세운 것으로 밝혀졌다.

정여선 학예연구사
정여선 학예연구사

이런 방식으로 황룡사는 건물지의 중요성과 규모에 따라 성토된 흙을 되파기 하여 다시 채우거나 경사로 성토된 위에 건물을 건립하였다. 또한, 회색니질의 습지층 위에는 솟아올라오는 물을 다스리기 위함인지 자갈이나 사람 머리만한 돌을 깔거나 채운양상이 확인되기도 한다. 생각하면 할수록 당시 기계의 힘을 빌려 대지를 조성한것도 아니었을텐데 그 거대한 면적을 오롯이 인간의 힘으로 완성했다는 것에 놀라울 뿐이다.

지금도 황룡사를 가보면 금당지, 목탑지, 중문지 등 주요 건물지는 주변보다 높게 주춧돌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남아있는 큰 주춧돌을 통해 그 위에 기둥과 지붕의 규모를 생각해보는 것도 좋겠지만 그 아래 습지를 메우고 건물을 세운 많은 신라시대 사람들의 노력이 스며있음을 기억하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경주문화재연구소의 신라 속 ‘숨은그림찾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