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 탈원전 피해보상 대책 요구 ‘스타트’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1-07-18 20:19 게재일 2021-07-19 1면
스크랩버튼
연구용역 추진 착수보고회 개최

경북도가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경주와 울진군 지역 원전 피해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선다.

경북도는 정부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원전지역 피해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을 추진키로 하고 지난 16일 환동해지역본부장, 경주·영덕·울진 원자력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월성 1호기 조기폐쇄, 신한울 3·4호기 건설 중단, 영덕 천지원전 1·2호기 백지화, 수명만료 예정 원전 등의 경제성 피해를 분석하고, 원전대응 국책사업 추진을 위해 원전상생 국가산단 조성, 원자력안전위원회 지역이전 등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당위성 마련과 탄소중립에 따른 원자력의 필요성도 포함한다.


지난 2018년 원자력안전 클러스터포럼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으로 지역의 경제적 피해는 약 9조 5천억원, 고용감소는 연인원 1천300만명으로 조사됐다. 당시 분석대상은 월성 1호기 조기폐쇄, 신한울 3·4호기 건설중단, 영덕천지원전 1·2호기 백지화만 포함됐지만 이번 연구용역에서 수명만료 예정 원자력이 추가되고 운영허가 지연 등 기회비용과 원전생태계 붕괴로 인한 경제적 현황을 고려하면 피해액은 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도는 11월중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에너지전환정책으로 경주와 울진, 영덕이 피해를 입은 만큼 이에 상응하는 국책사업 지원과 이미 완공된 신한울 2호기의 조속한 운영허가, 수명만료 원전 연장운영,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등을 강력히 요구할 방침이다.


이철우 지사는 “원자력은 기저전력 및 저탄소 에너지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전환정책은 반드시 재고돼야 한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