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내 안의 가장 가까운 혐오

등록일 2021-04-05 19:51 게재일 2021-04-06 16면
스크랩버튼
다양한 형태로 가족을 이루는 삶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할 시대가 왔다. /사유리 인스타그램

‘비혼모 출산 부추기는 공중파 방영을 즉각 중단해주세요!!!’ 지난 3월 25일 국민청원에 위와 같은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현재 방송인 사유리 씨는 자발적 비혼모로 공중파 육아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 중이다. 자발적 비혼모란 결혼 없이 정자를 기증받아 출산한 것을 말한다. 청원의 내용은 이렇다. “비혼모를 등장시켜서 청소년들이나 청년들에게 비혼 출산이라는 비정상적인 방식이 마치 정상인 것처럼 여겨질 수 있는 ‘***’라는 일본 여자를 등장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방송인 사유리 씨의 출산 방식이 올바른 가족관이 아닌 비정상적이며 청소년이나 청년의 비혼자 출산을 부추긴다며 공중파에서 출연을 막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상과 비정상의 기준은 모호하다. 국립국어원의 사전에서는 정상을 ‘특별한 변동이나 탈이 없이 제대로인 상태’를 말한다. 또는 ‘있어야 할 상태에 바로 있는 것. 또는 그런 상태’를 뜻한다. 사전적 의미의 정상은 그대로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그대로 있는 상태라는 뜻은 대상의 위치를 뜻하는 건지, 대상은 정확히 무엇인지 의미조차 모호하다. 때문에 정상과 비정상이 아닌 ‘이상’과 ‘비이상적’이라고 판단하는 게 더 올바르다.

비혼모 출산을 두고 아버지의 부재에 대해 염려하는 의견도 많다. 아이가 사춘기를 겪으며 부재한 가장의 자리에 결핍을 느껴 늘 자신감 없는 아이로 자란다는 것이 그 이유다. 여기서도 부모 중 한쪽이 부재하는 삶은 불행할 것이라며 섣불리 판단한다. 아이를 이끌어줄 수 있는 역할에는 ‘부’의 ‘가장’으로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강조하고 단정 짓는다. 그러나 아이가 혼란을 느끼는 데에는 혼란을 부추기는 어른의 시선과 입장뿐이다. 아이에게 혼란을 주고 싶지 않다면 정상 가족에 대한 프레임을 걷어낼 수 있도록 앞선 어른들이 노력해야 한다.

정상적인 가족은 무엇일까. 단순히 부모-자식 간의 3~6인을 유지한 구성 형태가 정상 가족일까. 그 안에서 벌어지는 체벌, 학대, 과거로부터 당연시되어 왔던 희생, 억압, 규칙은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오랜 기간 이어져 왔다. 정말이지 가족이라는 관대한 이름 아래에 용서와 화해는 무조건적으로 가능한 것일까.

몇 달 전 처음 보는 이들과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대뜸 한 사람은 내게 부모의 존재 여부와 직업, 본가의 위치를 물었다. 가족 구성원의 여부에 따라 나는 딱하거나 딱하지 않거나, 온전하거나 온전하지 않은 사람이 됐다. 낯선 자리에서 가족을 묻는 이들은 가족의 형태에 매달린다. 동시에 가족사 없는 집은 없다며 그 안에 일어나는 희생과 결핍에 대해서는 관대하다. 많은 이들이 가족이라는 형태가 유지되기까지의 소외된 이름을 묵인한 채 가족이라는 타이틀 앞에선 한없이 연약해진다.

세상엔 많은 형태의 가족이 있다. 조립식 가족, 비혼모 가족, 다문화 가족, 동성 부부, 반려견·반려묘 가족 등 다양한 모양의 가족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자신이 속해있지 않은 범주 바깥의 존재는 모두 비정상적이라고 무차별적으로 비난할 순 없다. 다양한 형태로 가족을 이루는 삶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윤여진 201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작가.
윤여진 201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작가.

사유리 씨는 자신의 삶과 아이를 택했다. 한 사람의 충분한 관심과 사랑이 있다면 아이는 가정의 형태와는 무관하게 사랑하고 사랑받는 올곧은 삶을 살 것이다. 혐오와 배제가 만연한 비이상적 사회가 두렵다면, 당장 스스로 해보아야 할 것은 조금씩 자신을 다듬고 고쳐 세상을 다시금 바로잡아 보는 것이다.

나 또한 어느 순간 나도 모르는 차별과 실수를 할지 모르겠다. 그러므로 더욱 자신을 경계해야 한다. 내가 알고 있는 것이 정말 옳은 것인지, 나의 생각이 내가 만든 편협한 틀에 갇혀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되돌아보고 살피며 불공정한 것에 대한 목소리를 올바르게 내야 한다. 한 사람이 옳은 방향을 정립하여 많은 다양성과 가능성을 존중하고 인정한다면 전보다 조금 더 나은 변화가 찾아올 것이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