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밟고 가라, 밟고 가

등록일 2021-04-05 19:51 게재일 2021-04-06 16면
스크랩버튼
초등학생들이 천안함 희생장병을 추모하는 비둘기 풍선을 날리고 있다.

사람들이 가장 싫어하는 게 군대 이야기라고 한다. 3월 26일은 천안함 피격 11주기였다. 천안함 피격 사건 재조사를 두고 일어난 논란에 대해선 이 지면에서 말하고 싶지 않다. 한 가지 분명한 건 생존 장병들은 패잔병이 아니라 영웅이라는 사실이다. 사람들이 불편해 하기 때문에 누군가는 꼭 군대 이야기를 해야 한다.

내가 군 복무를 한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박왕자씨 피살 사건’,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 도발’이 있었고, 그때마다 분단 현실이라는 비극에 대해, 또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했다. 천안함이 침몰하기 17개월 전인 2008년 10월, 나는 육군 장교 생도로 영천 3사관학교에서 유격훈련을 받고 있었다.

어둠 속으로 하나 둘 스러졌다 다시 나타나길 반복하는 동기들의 뒷모습은 마치 유년의 기억들처럼 손닿을 수 없는 곳에 있는 것 같았다. 한나절 영천댐의 숨결을 빨아들인 밤안개가 입김을 뿜어내고, 별들은 캄캄한 하늘에서 눈을 부라렸다. 습기가 등골을 따끈하게, 때론 서늘하게 하던 자정 무렵, 쇠닻마냥 무거운 발걸음은 69번 국도에 간신히 끌려가고 있었다. 이미 유격훈련 입소 행군에서 60km를, 또 훈련 2주차 산악 행군에서 사흘간 90km를 걸은 우리에게 80km의 복귀 행군은 처절한 싸움이었다.

열 시간쯤 걸었을까. 행군 초반의 패기는 사라지고, 행군을 격려해주던 영천 시민들도 모두 잠든 밤. 육체의 고통보다 견디기 힘든 건 낙오할지 모른다는 두려움, 멀리 보이는 불 켜진 집들의 온기, 동기들과 함께임에도 문득 내려앉는 외로움, 엄마… 갈증보다 더한 그리움 같은 것들이었다. 무뎌진 발소리와 거친 숨소리가 뒤섞인 행군 대열은 상처 입은 짐승처럼 비틀거렸다.

발바닥에 가득 잡힌 물집이 통증을 온몸에 전송했고, 완전군장의 무게는 점점 육체와 정신을 짓눌렀다. 포기하고 싶었다. 낙오자가 되는 편이 낫겠다고 생각했다. 그때 우리를 인솔하던 훈육대장이 대열 중간까지 왔다. 나는 일부러 더 고통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훈육대장을 바라보았다.

“힘들면 열외하고 차에 타라”라는 말을 기다리는데, 훈육대장이 입을 열었다. “힘드나?” 우리들이 대답했다. “아닙니다!” 그가 다시 물었다. “발에 물집이 잡혀 걸을 수가 없나?” 웅얼웅얼, 대답소리가 기어들어갔다. 이제 “힘든 인원은 뒤로 열외해라”라는 훈육대장의 한마디가 나올 차례, 그러나 기대가 여지없이 깨진 순간, 나는 뭐랄까, 정신의 벼락을 맞은 듯했다.

“밟고 가라, 밟고 가!”

그 음성을 아직 잊지 못한다. 무언가 뜨거운 게 가슴에서 솟구쳐 올라 결국 눈물로 쏟아져 내렸다. 나는 그 눈물이 진주알보다 귀한 것이라고 지금도 생각한다. 동기들을 바라보았을 때, 어둠 속에서 시커먼 위장크림을 칠한 얼굴들이 전부 눈에 횃불을 밝혀두고 있었다. 훈육대장의 그 외침이 행군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군 생활, 그리고 살아갈 모든 날들 동안 우리 앞에 나타날 숱한 장애물과 함정, 가시밭길 앞에서도 망설이지 말고 밟고 가라는, 그 어떤 어려움이라도 다 밟고 나아가라는 요청임을 다들 알았던 것이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 이야기를 꺼낸 것은 천안함 장병들을 기억하기 위함이다. 천안함 피격 소식을 들었을 때 ‘최후의 5분’이라는 군가가 맴돌았다. “숨 막히는 고통도 뼈를 깎는 아픔도” 다 견디며 “버티고 버텨”주기만을 간절히 바랐지만, 46명의 청춘들은 끝까지 싸우다 스러졌다. 매년 3월 26일이면 천안함 희생 장병들을 기리는 추모제가 열린다. 올해는 ‘서해 수호의 날’과 함께 치러졌다. 그런데 천안함 용사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기는커녕 정쟁과 진영논리의 장이 되고 있다. 추모제니 재조사니 하는 ‘형식’보다, 하찮은 정치적 입장 따위보다 장병들의 희생과 헌신이라는 ‘내용’만 청년 세대에게 기억됐으면 한다. 화염에 싸인 조타실 안에서 죽음의 순간까지 키를 놓지 않은,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그들처럼 청년들이 캄캄한 현실의 절망을 돌파해내고자 한다면 그 용기야말로 가장 가치 있는 추모가 될 것이다.

LH 투기에 허탈감을 느낀 청년들이 비트코인 시장에 몰려 ‘한탕’을 노리고 있다고 한다.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죽음과 싸운 장병들에 비하자면 오늘 우리가 맞닥뜨린 현실의 문제들은 한 판 붙어 이겨볼 만한 것이다. 나는 나에게, 청년들에게 외치고 싶다. 절대 낙오하거나 포기하지 말자고, “밟고 가라, 밟고 가!”라고.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