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새로운 세상으로 접속, 메타버스

등록일 2021-03-22 20:04 게재일 2021-03-23 16면
스크랩버튼
포트나이트 속 트래비스 스캇의 콘서트 장면. /에픽게임즈

지난해 미국 대통령 선거 기간 중 조 바이든 대통령은 닌텐도 기반의 게임인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서 선거 유세를 펼쳤다. 바이든 섬으로 놀러가면 그의 캐릭터가 있었으며, 방문자는 총 다섯 가지의 지지 팻말을 받을 수 있었다. 선거 유세를 게임 플랫폼을 통해 펼친 것은 이례적으로 처음이었다.

미국 유명 래퍼인 트래비스 스캇은 게임인 ‘포트나이트’를 통해 라이브 콘서트를 개최했다. 동시접속자 1천230만 명을 기록하며 게임 속 판매 굿즈 금액으로 2천만 달러가 넘는 수익을 창출했다. 동시에 콘서트 이후 음원 이용률 25% 상승하는 성과를 이끌어 내기도 했다.

이들이 자신의 영향력을 펼친 곳은 가상공간인 ‘메타버스’에서 이루어진것이다.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를 뜻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Verse)’의 합성어를 뜻한다. 메타버스는 1992년 공상과학작가인 닐 스티븐슨의 ‘스노우 크러쉬’ 소설을 통해 처음 등장했다. 이 작품에서 ‘아바타’라는 용어가 거론되었고, ‘메타버스’는 가상의 아바타로 들어갈 수 있는 가상의 세계를 뜻했다.

2003년에는 ‘스노우 크러쉬’에 영감을 받은 ‘세컨드라이프’가 등장했다. 세컨드라이프는 현금으로 환전할 수 있는 사이버 머니가 존재했고, 사업을 구상하여 사이버 머니를 벌 수 있었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모바일로 주도권이 넘어갔고, 속도가 느린 점과 단조로운 콘텐츠로 인해 2년 만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이후 3D, AR/ VR의 발달과 5G의 등장, 대형 화면이 일반화됨에 따라 최근엔 양방향으로 감각을 느낄 수 있는 메타버스가 다시금 주목받게 되었다. 또한 코로나19로 많은 이들의 일상이 제한되면서 메타버스 속으로 새로운 경험과 욕구가 확장되었다. 최근엔 순천향대학교에서 교수와 학생이 아바타로 등장하여 참석한 가상 입학식이 열리기도 했다.

사실 AR과 VR의 기술은 10년 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현재 주목받는 메타버스는 단순한 가상 세계를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현재 메타버스 플랫폼들은 현실과 공존할 수 있는 생활 공간으로의 기능을 일부 갖추고 있다. 가상 현실에서의 일부 활동으로 실제 경제활동까지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재 메타버스 세계가 활발히 구축된 곳은 게임과 엔터테이먼트 분야다. 모바일 기기와 소셜미디어에 익숙한 MZ세대는 이미 메타버스 세계를 자유롭게 즐기고 있다. 일명 ‘초통령 게임’으로 알려진 ‘로블룩스’는 미국과 한국 청소년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로블룩스의 특징은 높은 자유도와 유저와의 연결성이다. 그저 마우스 클릭 몇번으로 블록을 쌓아 화려한 건축물을 쌓고, 세계 유명 도시를 지어 하나의 세계를 창조해낸다. 블록 놀이를 하는 듯한 이 게임은 블록이 부족하거나, 없어지거나, 더는 만들 공간이 부족하지도 않다. 애니메이션이나 음악, 게임을 제작하여 게임 내 유저들과 공유하며 즐기며, 게임 프로그래밍과 옷 판매를 통해 수입을 창출한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플랫폼으로 네이버 ‘제페토’를 볼 수 있다. 제페토는 2018년 8월 출시되었으며 2021년 현재 약 2억 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제페토는 사용자와 닮은 캐릭터를 생성하여 표정과 몸짓, 패션스타일까지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

그들은 학교나 매점, 공원 등 제법 잘 갖추어진 공간에서 문자나 음성, 이모티콘으로 소통한다. 거기에 그치지 않고 대화나 상황극을 통해 일상 브이로그나 제페토 드라마 영상을 만든다. 놀라운 조회수를 기록하며 인기 콘텐츠의 흐름을 주도한다.

윤여진 201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작가.
윤여진 201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작가.

다양한 브랜드에서도 MZ세대가 모여드는 메타버스의 세계에 집중하고 있다. 명품 브랜드 구찌는 게임 내 구찌 빌라를 신설하여 신상품 컬렉션을 선보였다. 한 달 만에 방문객 130만 명을 기록했으며, 콜라보를 통해 MZ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 1위로 꼽히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구글, 마인크로소프트 등 현재 수많은 기업이 메타버스 세계에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는 시공간의 제약 없이 렌즈나 안경 하나로 가상 현실에 접속하여 다양하고 질 높은 콘텐츠를 소유하며 살아가게 될 것이다. 콘텐츠를 즐기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용자가 콘텐츠를 만들고 메타버스 세계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더욱 무궁무진한 성격을 띤다.

현재는 메타버스 세계가 한정적이고, 현실과 가상세계가 완벽하게 이어지진 않았지만 앞으로 어떤 콘텐츠로 채워질 것인지 기대된다. 이 안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개인의 정체성이나 영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