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미국 HBO에서 방영된 드라마 ‘밴드 오브 브라더스(Band of Brothers)’는 세계 2차대전 당시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수행한 연합군 ‘이지(Easy)’ 중대의 처절한 전투기를 생생하게 그려냈다.
실제 작전에 참여한 생존 노병들의 인터뷰와 각종 사료(史料)들을 바탕으로 1940년대 전쟁을 거의 논픽션처럼 담아낸 이 드라마는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전쟁 서사물 가운데 불후의 명작으로 회자된다.
이지 중대를 이끄는 중대장 소블 대위는 무능하기 짝이 없다. 보병장교임에도 군사지도를 제대로 읽지 못하고, 모의훈련 때마다 어이없는 작전 지시로 부대원들을 위기에 몰아넣는다. 실전에서 도무지 믿고 따를 수 없을 만큼 지휘 능력이 떨어짐에도 자신의 무능함을 인정하고 개선의 노력을 하기는커녕 부하들 탓만 한다. 부당한 지시를 내려 부대원들을 괴롭히기도 한다. 사사건건 트집을 잡아 외출을 금지하고, 주말에 구보를 시키고, 자신보다 훨씬 유능한 부하 장교 윈터스 중위에게 온갖 허드렛일을 맡긴다. 가혹행위라 할 만한 ‘갑질’, 원칙도 없이 기분 내키는 대로 내던지는 황당한 지시, 게다가 결과가 잘못되면 부하 탓까지 하는 최악의 리더인 것이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우리나라 축구 국가대표팀을 맡은 슈틸리케 감독이 꼭 소블 대위 같았다. 2018 러시아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이란과의 경기에서 졸전 끝에 0대 1로 패한 후 자신의 전술적 패착을 돌아보는 대신 선수들에게 책임을 돌렸다. 경기에서 질 때마다 선수 탓부터 하던 슈틸리케는 결국 경질됐고, 이후 부임한 중국프로리그 팀에서도 별다른 성적을 거두지 못한 채 지금은 현장을 떠나 있다. 반면 2002 월드컵의 영웅 히딩크는 단 한 번도 선수 탓을 한 적이 없다. 평가전에서 상대에게 대패하며 ‘오대영’이라는 굴욕적인 별명이 붙었을 때도, 체력 훈련만 시키자 전문가들이 “기술 훈련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아 비난했을 때도 그는 묵묵히 자신만의 확고한 철학과 팀 운영 원칙을 가지고 선수들을 지도했다. 결과에 대한 책임은 자신이 질 테니 믿고 따라올 것을 주문했다. 그 결과 국가대표팀은 월드컵 4강이라는 신화를 썼다. 70대 중반의 나이에도 히딩크는 세계무대에서 유능한 감독으로 각광받고 있다.
며칠 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다시 600명대로 올라섰다. 이에 정세균 국무총리는 “방역 의식이 해이해졌다”며 국민들을 탓했다. 뉴스를 보다가 눈을 의심했다. 저게 이 나라 행정부의 2인자 입에서 나올 소리인가 싶었다. “긴장이나 규율 따위가 풀려 마음이 느슨하다”는 뜻의 ‘해이’라는 말을 참 오랜만에 들었다. ‘기강 해이’ 같은 고압적인 표현은 군대에서나 접하던 것이다. 단순히 부적절한 어휘를 사용했기 때문이 아니라 코로나 확산의 책임을 국민들에게 돌리는 뻔뻔함에 화가 났다.
지난 1년 여 동안 우리 국민들만큼 방역 수칙을 잘 지킨 사례가 세계 어느 나라에 또 있던가? 통계청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시민들의 이동량은 오히려 줄었다. 귀뚜라미보일러 아산공장과 종교시설의 집단감염으로 인해 확진자 수가 늘어난 것이지 국민들은 명절에도 가족들과 뿔뿔이 흩어져 마스크 쓰고 손 씻고 가게 문을 내리는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따랐다.
국민들을 탓하기 전에 정부는 스스로를 돌아봐야 한다. 원칙도 없이 고무줄처럼 줄였다 늘이는 거리두기 단계 조정으로 국민들에게 혼란과 불편을 준 것을 사과해야 한다. 전체주의 국가가 아닌 이상 사회를 완벽하게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한데, 일부 유흥업소의 돌출적 감염 사례를 침소봉대해선 그간 뼈를 깎는 고통을 견디며 방역수칙을 지켜온 대다수 국민들을 향해 손가락질하는 게 가당키나 한 일인가? 국민들과 의료진의 희생을 빼면 ‘K-방역’은 한낱 우스운 흰소리, 텅 빈 껍데기에 불과하다.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면서 전 세계 코로나 일일 확진자수가 4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OECD 37개 국가 중 백신 확보도 가장 늦고 접종 시작도 꼴찌다. 소블과 슈틸리케가 떠오르는 이유다. 해이한 것은 국민이 아니라 정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