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밝힌 자료에 의하면 코로나19 이후 지역의 취업자 수가 대면 위주의 전통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여성이나 임시일용직 등 취약계층의 고용이 상대적으로 더 부진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종사자의 고용이 크게 준 것으로 나타났다. 도소매, 음식·숙박업은 2019년 한해동안 2만3천명이 감소했으나 코로나가 발생한 지난해는 6만명으로 그 폭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 사태 이후 대구경북의 청년층의 취업자 수는 지난해 6.7%가 감소해 전국 평균(4.6%)보다 훨씬 큰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의 청년 고용 상황은 최악 상태라 할만하다.
전국적으로도 코로나 여파로 고용 상황은 비슷하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비자발적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전국적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일을 하고 싶으나 직장의 휴·폐업, 사업 부진 등으로 직장을 그만둔 사람들이다. 이 가운데 40%는 임시직 근로자며 23%는 일용직 근로자로 집계됐다. 또 가계소득도 소득하위 계층은 1.1% 감소했으나 소득상위 계층은 2.9%가 증가했다. 가난한 사람은 더 가난해지고 부유한 사람은 더 부유해지는 소득의 양극화가 심화됐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이후 전반적으로 우리 경제가 후퇴하면서 일용직이나 임시고용직 등 취약계층일수록 어려움이 더 가중되었던 것이 각종 통계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코로나19로 촉발된 위기는 1930년대 대공항 이후 가장 큰 경제 재앙이며 특히 취약계층에 큰 타격을 입혀 불평등을 악화시킬 것이라 예측한 바 있다. 코로나19가 1년 이상 지속된 지금의 우리 상황이 그렇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의 도산이 줄을 잇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취약계층의 경제난이 이젠 극에 달했다.
경북도 등 행정기관에서 취약층에 대한 각종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고 하지만 이는 언발에 오줌누기 정도다.
정부가 또다시 재난 지원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이번 재난 지원금만큼은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집중 지원하는 것이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란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