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지난 1일 이후 27명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 5명의 검체에서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됐다고 한다. 영국발 변이가 4명, 남아공발 변이가 1명이다. 남아공발 변이는 경북 구미에서, 영국발 변이는 경남과 전남에서 각각 발생해 국내서도 처음으로 지역감염 사례가 확인됐다는 것이다. 이로써 지난해 12월 28일 국내 처음으로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발생한 이후 누적 감염자는 39명에 이르고 있다.
변이 바이러스는 기존 코로나19 보다 전파력이 훨씬 강한데다 백신효과도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영국, 남아공, 브라질 등 3종의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됐고 3종 모두가 발생한 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9개국뿐이다. 한국도 그 중 하나라고 한다. 전문가들은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을 심각히 우려하며 3-4월 4차 대유행의 불씨가 될 것을 걱정하고 있다.
지난 11월 중순부터 3차 대유행에 접어든 국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는 신규 발생자가 300명대로 일시 떨어졌다가 다시 400명대 선을 회복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산발적 발생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특정 종교집단 집단발생 사례를 떠나 의료기관, 음식점, 직장, 어학원 등 곳곳에서 산발적 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질병관리청은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감염자가 1월 중 3천300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최근 일주일 사이 경로 미확인 감염비율이 22%나 된다. 언제 어디서 누구한테 감염될지 모르는 위중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설 연휴까지 연장하고 5인 이상 모임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설 연휴기간 동안 가족간 모임이 실효적으로 지켜질지는 의문이다. 직계가족도 5인 이상 모임을 금지한 조치를 두고 시중에는 논란이 한창이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국민적 피로감도 높아진 상태다. 당국의 방역조치가 설 명절 앞에 또한번의 고비를 맞고 있다. 당국의 철저한 방역망 관리와 함께 국민 각자도 방역수칙 준수에 잠시라도 긴장감을 놓아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