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번 설 명절에는 직계가족이라도 거주지가 다르면 4인까지만 모임이 허용돼 고향방문이나 친지와 가족간 모임도 사실상 어려워질 전망이다. 설 명절임에도 불구하고 가족 친지간 만남이 제한되는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매우 위중한 분위기여서 불가피한 조치라 여겨지나 부모자식간의 만남조차 제약된다 생각하니 기가 막힌 상황이라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 12월 8일부터 시작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가 두 달 가까이 지속되면서 국민적 피로감도 높은 상태다. 무엇보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이 받은 경제적 충격은 실로 엄청나다. 상당수 자영업자가 점포 문을 닫거나 임대료를 내지 못해 사지에 몰려 있다. 설 명절 대목을 기대했던 상인들도 이번 사회적 거리두기의 연장조치에 좌절감을 표시하고 있다. 이젠 더 이상 버틸 여력이 없다고 호소한다.
정부도 이런 점 때문에 “이번 결정이 쉽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다. 확산세가 꺾였다고 보기가 일러 다시한번 거리두기를 연장한 것이다. 특히 대규모 이동이 예상되는 설 명절이 코앞에 닥쳐있고 이달 말에는 백신접종이 시작될 예정으로 있어 일정에 차질이 빚어질 일이 생기면 안 된다. 또 3월이면 초중고교가 개학을 해야 한다. 정부는 이 모든 일정에 앞서 확실한 코로나19 확산세를 잡아야만 4차 대유행을 막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정부의 이번 조치로 국민은 또 한번 일상의 불편과 불이익을 감내해야 한다. 누구보다 파산 위기에 직면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은 제 살을 깎는 고통의 시간을 맞아야 한다. 정부의 이번 조치가 불가피하다 하나 너무 오랜 시간 끌고 온 데 대한 반작용도 만만치 않다. 이제는 거리두기가 빠르게 성과를 내야 한다. 이번이 마지막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