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세상을 보는 창 혹은 창으로 보는 세상

등록일 2021-02-01 20:07 게재일 2021-02-02 16면
스크랩버튼
인터넷에는 모든 게 다 있다. 그러나 거기서 보는 게 과연 세상의 전부일까. /언스플래쉬

집에 있는 날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시간 역시 길어졌다. 친구와의 대화는 통화나 문자로 하고 얼굴이 그리우면 영상으로 마주 보는 것도 가능하다. 직접 만나지 못해 답답하고 서운하지만 동시에 이렇게 다양한 비대면 만남이 가능하다니, 참 발전된 세상이구나, 하는 새삼스러운 감탄도 인다. 어린 시절 공상 만화에서 보았던 최첨단 미래 기술이 바로 지금 실현되고 있는 기분이다.

인터넷에는 그야말로 모든 것이 다 있다. 밖으로 나가야만 할 수 있었던 많은 일이 네모반듯한 스마트폰 하나면 충분하다. 이 작은 화면을 통해 친구들을 만나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나누고 좋아하는 가수의 음악을 듣는다. 배가 고프거나 카페인이 필요하면 클릭 한 번으로 음식과 커피를 시켜 먹는다. 푹신한 침대에 누워 워런 버핏의 인터뷰를 시청하고 프리먼 다이슨의 저서를 읽는다. 세상에는 늘 새로운 사건사고가 벌어진다. 세계 각국의 사람들과 일련의 사건에 함께 공감하고 분노하다 보면 어느덧 하루가 저물어있다. 이 모든 것이 집에서 한 발자국도 나가지 않아도 가능하다. 그러니 스마트폰 화면은 세상을 보는 창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듯 삶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는 인터넷 때문에 우리는 때때로 지식을 장악하고 있다는 오만에 빠지기도 한다. 나부터가 그렇다. 궁금한 것이 생기면 스스로 생각하기에 앞서 검색창부터 연다. 손가락 몇 번만 움직이면 원하는 정보가 와르르 쏟아진다. 인터넷은 맞춤옷처럼 내게 딱 맞는 답을 선사한다. 가끔은 인터넷이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럴 수밖에. 내가 그 정보를 선택한 것이 아니라 선택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에코 체임버(Echo Chamber) 효과’가 그 대표적인 예다. 에코 체임버는 방송이나 녹음 시 닫힌 방 안에서 인공적으로 메아리를 만드는 기계를 뜻한다. 이러한 효과가 현재의 우리 삶에도 적용되고 있다. 내 의견에 동조하는 의견이 메아리처럼 반복되면서 그것이 세상의 전부인 것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특히 소셜미디어의 알고리즘은 이러한 에코 체임버 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페이스북에서 내가 원하는 사람들을 팔로우한다. 그들은 내 심기를 거스르는 말을 하지 않는다.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손쉽게 끊어낼 수 있다. 정치적 성향이 맞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또는 그런 기사나 댓글을 읽으며 고개를 끄덕인다. 그렇지! 내가 옳을 줄 알았어! 강력한 확신과 동시에 자기 의심은 공기 중으로 흩어진다.

유튜브 역시 마찬가지다. 유튜브는 실행과 동시에 가장 먼저 내가 원하는 콘텐츠를 보여준다. 보기 싫은 것을 볼 필요가 없다. 알고리즘이 알아서 필터링해주기 때문이다. 언젠가 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광고로 상영된다. 엊그제 최저가를 검색했던 보디로션, 수면 잠옷, 강아지 사료까지. 우리는 이렇게 작은 화면에 갇힌 상태에서 더 넓은 시야를 확장하지 못하고 같은 자리를 맴돌고 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나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중에서 ‘라푼젤’의 서사를 가장 좋아한다. 높고 좁은 탑에 갇혀 있던 여성이 안온함을 박차고 세상 밖으로 나오는 이야기라는 점이 무척이나 매력적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라푼젤이 작은 창으로 내려다본 세상은 닿을 수 없는 비밀로 가득 차 있다. 그녀의 계모는 밖은 온통 위험한 것뿐이며 탑에 머무는 지금이 가장 안전한 방식이라고 속삭인다. 그러나 그녀는 기꺼이 현실과 마주한다. 두려움과 슬픔, 상실의 감정을 만나며 좌절에 빠지기도 하지만 멀리서 관조했던 빛의 풍경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아름답다는 것을 알게 된다.

창문으로 보는 풍경이 세계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사회의 안전을 위해 좁은 탑에 갇혀 있어야만 하는 요즘이다. 이런 때일수록 화면 너머에 존재하는 삶을 기억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시선을 존중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