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경제활동 참가율’ 보고서<br />1996년 95.9%서 올해 93.1%로
가계 핵심 소득원인 30∼54세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박용민 과장팀은 4일 ‘경제활동 참가율 변화에 대한 평가’보고서를 통해 핵심 노동연령층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하락해 1996년 95.9%에서 올해 1∼9월 93.1%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주요국은 25∼54세를 경제 활동이 가장 활발하고 생산성이 높은 핵심 노동연령층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한국의 군 복무, 높은 대학 진학률 등을 고려해 30∼54세를 핵심 노동연령층으로 설정했다.
이들의 경제활동 참가율 하락에는 일자리 양극화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고숙련, 중숙련, 저숙련으로 일자리를 구분할 때 핵심 노동연령층 남성이 주로 종사하는 중숙련 일자리가 계속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로 사무직, 기능원 및 장치·조립 종사자인 중숙련 일자리 비중은 1994년 60.0%에서 지난해 55.5%로 줄었다.
1994년부터 2003년까지는 글로벌화로 공장 해외이전, 경제의 서비스화 등 산업구조 변동으로 중숙련 근로자를 다수 고용하는 제조업(-3.9%포인트), 건설업(-3.8%포인트) 등의 고용 비중이 줄면서 경제 전체의 중숙련 일자리 비중이 축소됐다. 2004년부터 2017년까지는 전산화, 자동화 등을 통해 정형적 업무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산업내 기술진보가 진행되면서 일자리 양극화를 부추겼다. /김진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