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취수원 이전·무방류시스템 용역 예산 포함될 듯

박형남기자
등록일 2018-11-06 20:49 게재일 2018-11-06 3면
스크랩버튼
▲ 이낙연 국무총리가 5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위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정부 요청으로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대구·경북·구미·울산 등 관련 4개 단체장들이 회동한 끝에 무방류시스템 도입 및 취수원 이전 병행 검증 용역 예산이 반영(본지 11월 2일자 1면 보도)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무총리실이 자유한국당 곽상도(대구 중·남) 의원 측에 지난달 물문제 현안과 관련한 지자체 간담회 결과 내용을 보고하면서 폐수무방류(구미산단 상황에 기술적으로 적용 가능한 최적의 폐수 무방류 방안 등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검증 위한 연구용역 실시), 낙동강 통합물관리(낙동강 유역 전체의 물관리 및 물환경 여건 분석, 취수원 다변화 및 배분 방안 등을 포함한 포괄적 연구용역 실시) 병행 검증 용역 예산이 각 20억원 안팎 들어갈 것이라고 보고했다. 용역기간은 1년이다. 총리실은 또 “예산이 차질없이 반영되도록 환경부 등 관계기관 노력하기로 했다”고 답했다.

곽 의원은 5일 국회예산결산위에서 이낙연 국무총리를 상대로 “구미산단 폐수를 무방류시스템으로 처리가 가능한 지, 해평취수장 공동 사용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 확장 문제, 수량·수질 문제 등 해서 1년간 연구검토 용역하기로 착수했다는 보도가 있다”고 물었고, 이 총리는 “첫째 구미·대구·울산·부산을 포함한 낙동강 수계 전체의 물 관리에 관한 통합적인 용역을 맡긴다. 둘째는 구미의 산업폐기물에 대한 무방류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술 용역을 맡긴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용역 결과에 적용 가능한 기술 방법을 발견하면 바로 착공할 수 있도록 한다”며 “그렇게 되면 청도에 있는 운문댐 물을 대구와 울산이 일정 비율 공유한다. 그리고 그런 전제 하에서 울산은 반구대암각화 주변의 수위를 낮춘다, 이렇게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곽 의원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 국회 심의과정에서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용역에 소요되는 예산은 얼마나 필요한지, 정부 차원에서 어떻게 추진해 나갈 계획인가”라는 질문에 이 총리는 “환경부 추계로는 2개의 용역에 28억원 정도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어제 당·정회의에서 여당 측에 꼭 증액을 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밝혔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