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실이 자유한국당 곽상도(대구 중·남) 의원 측에 지난달 물문제 현안과 관련한 지자체 간담회 결과 내용을 보고하면서 폐수무방류(구미산단 상황에 기술적으로 적용 가능한 최적의 폐수 무방류 방안 등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검증 위한 연구용역 실시), 낙동강 통합물관리(낙동강 유역 전체의 물관리 및 물환경 여건 분석, 취수원 다변화 및 배분 방안 등을 포함한 포괄적 연구용역 실시) 병행 검증 용역 예산이 각 20억원 안팎 들어갈 것이라고 보고했다. 용역기간은 1년이다. 총리실은 또 “예산이 차질없이 반영되도록 환경부 등 관계기관 노력하기로 했다”고 답했다.
곽 의원은 5일 국회예산결산위에서 이낙연 국무총리를 상대로 “구미산단 폐수를 무방류시스템으로 처리가 가능한 지, 해평취수장 공동 사용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 확장 문제, 수량·수질 문제 등 해서 1년간 연구검토 용역하기로 착수했다는 보도가 있다”고 물었고, 이 총리는 “첫째 구미·대구·울산·부산을 포함한 낙동강 수계 전체의 물 관리에 관한 통합적인 용역을 맡긴다. 둘째는 구미의 산업폐기물에 대한 무방류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술 용역을 맡긴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용역 결과에 적용 가능한 기술 방법을 발견하면 바로 착공할 수 있도록 한다”며 “그렇게 되면 청도에 있는 운문댐 물을 대구와 울산이 일정 비율 공유한다. 그리고 그런 전제 하에서 울산은 반구대암각화 주변의 수위를 낮춘다, 이렇게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곽 의원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 국회 심의과정에서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용역에 소요되는 예산은 얼마나 필요한지, 정부 차원에서 어떻게 추진해 나갈 계획인가”라는 질문에 이 총리는 “환경부 추계로는 2개의 용역에 28억원 정도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어제 당·정회의에서 여당 측에 꼭 증액을 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밝혔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