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기업·가계 대출 10년간 크게 늘어

김영태기자
등록일 2018-10-29 20:37 게재일 2018-10-29 3면
스크랩버튼
한국은행과 금감원 통계에서도 대구·경북지역 경제가 상당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추경호(대구 달성군)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이후 10년동안 전국 은행권 기업대출이 76% 증가하는 동안 대구는 111% 늘어났고 비은행권 가계대출이 169% 상승하는 동안 경북은 무려 200%나 폭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은행권 기업대출의 경우 대구는 최근 급증세를 보인 제주에 이어 전국 2위 증가액 기준으로는 전국 6위, 비은행권 가계대출은 제주, 부산에 이어 경북이 3위를 기록했다. 특히 경북의 대출 연체율, 금리인상 취약 차주 등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대구는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 전국 4위 수준으로 주의가 필요한 위험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이 올 6월 기준으로 파악한 국내은행 지역별 연체율은 서울이 0.85%로 가장 높고 가계대출 및 중소기업·개인사업자(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전북이 각 0.35%, 0.9%, 0.7%로 전국에서 제일 높았다. 경북은 자영업자 연체율 0.3%(전국 8위)를 제외하고는 모두 양호한 수준이지만, 대구는 자영업자 연체율이 0.45%로 전국 4위, 중소기업 연체율은 0.52%로 5위로 전국 평균보다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오는 11월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을 가능성이 높아 부채율과 연체율 상승은 지역경제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대구·경북지역의 금리상승 민감 차주는 각 10만명(8위), 11만명(6위)으로 적지 않은 수준이고 고위험대출 자영업자도 1만5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경호 의원은 “금융위기 이후 지난 10여년간 가계·기업 대출 잔액은 꾸준히 늘어 현재 2천조원에 육박하고 지금은 연체율 등에 이상이 없어 보이지만, 규모가 막대한만큼 금리인상 등 외부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정부의 세심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