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취수원 이전 검토할 수 있어”

박형남기자
등록일 2018-10-24 21:17 게재일 2018-10-24 3면
스크랩버튼
조명래 환경부 장관 후보자<br />인사청문회서 답변<br />구미·대구시민 합의 ‘단서’<br />“4대강 보 전면개방은<br />절차·협의거쳐 추진해야”

23일 열린 조명래 환경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대구 수돗물 문제 해결을 위한 질의가 이뤄졌다.

대구 달서병 당협위원장이었던 자유한국당 강효상 의원은 대구 구미 취수원 이전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강 의원은 조 후보자가 안동 출신인 점을 언급하면서 “김은경 장관은 자질이 부족했기에 경질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지역안배, 국민통합차원에서 대구·경북(TK) 출신의 조 후보자가 지명된 것은 뒤늦게 나마 긍정적인 일”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김 장관은 무방류 시스템과 동시에 취수원 이전을 추진해달라는 질의에 ‘낙동강 불안하면 정수 방안을 찾아라 취수원이전은 합리적이지 않다’는 답변을 해 공분을 자아낸 적이 있다”며 대구취수원 이전에 환경부가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문했다.

이에 조 후보자는 대구 수돗물 문제 해결을 위해 취수원 이전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부정적이었던 김 장관에 비해 여지를 열어 놓았다. 다만 단서조항을 달기도 했다. 실제 조 후보자는 “구미와 대구시가 주민들이 서로 합의해서 수계 전체 관리 차원에서 여러가지로 제시된 취수원 이전을 하나의 방안으로 검토는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이덕천 대구취수원 이전 범시민추진위원회 공동대표가 참고인으로 출석해 대구시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했다. 이덕천 대표는 “대구시에서 생수가 바닥이 나고 시민들의 원성이 난리가 났는데, 당시 환경부 차관은 대구에 와서 매곡정수장에서 고도처리 된 생수 한 잔을 대구 상수도 본부장과 마시면서 언론플레이만 하고 떠나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강 의원이 “대구시민들이 아직도 테스트 중이라는 무방류시스템만 믿고 살아갈 수는 없다, 환경부가 나서야 된다”고 언급하자, 이 대표는 “1991년 페놀사태이후 약 30여년이 흘렀지만 대구시민이 느끼기에는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다. 전혀 나아진 게 없다고 생각한다”며 “대구취수원이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영향이 없는 안전한 곳으로 하루빨리 이전되어 대구시민이 안심하고 물을 마실 수 있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이뿐만 아니라 TK지역 자치단체장이 참고인으로 참석해 4대강 보 개방 문제에 대한 질의도 있었다. 조 후보자는 “4대강 보 전면 개방에 대해 주민 합의 등을 거쳐 점진적으로는 4대강 보가 전면 개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하자, 한국당 의원 일부는 황천모 상주시장 등을 앞세워 이같은 주장을 즉각 반박했다.

황 시장은 “지난 3월 상주보의 수심을 낮췄을 당시 상수도 취수 기능에 장애가 있었고 이로 인해 어업하시는 분들도 곤란을 겪었다”며 “물을 내보냄으로써 영농에서는 164억원의 손실이, 양수장과 지하수에서 843억원, 취수에서 750억원 손실 등 총 3천여억원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증언했다. 그러면서 그는 “주민들 입장에서 피해가 크니 살펴봐달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조 후보자는 “4대강 보 개방과 관련해 주민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에 충분히 동의하고 있다”며 “전면 개방을 하더라도 공감대를 가지고 절차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청문회가 진행되는 동안 국회 정문에서는 대구취수원이전 범시민추진위원회 회원들이 1인 시위를 펼치며 취수원 이전을 촉구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