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명가 정치 등 계파 청산 강조<br />8일 조강특위 명단 공개 밝혀
자유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으로 내정된 전원책 변호사는 4일 “박근혜 정부의 실정 혹은 전체 과정에서 책임의식을 갖고 있어야 하는데 아무도 그러지 못했다”며 “그것이 한국당을 외면하게 만들었고 전체 보수를 궤멸직전으로 몰아넣게 된 가장 큰 이유”라고 밝혔다. 전 변호사는 이날 조강특위 위원 내정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당 의원들은 야당 의원으로서 본분을 다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전 변호사는 “저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무죄라고 생각하지 않고 탄핵사유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탄핵심판은 졸속이라는 것을 확신한다. 뇌물죄 수사 시작도 안한 엉터리 탄핵소추안을 심리하는 헌법재판소에 항의하는 법률가가 한국당에는 아무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이 아니면 한국당에 기회는 없다. 이번 인적쇄신이 한국당의 마지막 쇄신이 될 것”이라며 “명망가 정치를 없애야 한다”고 계파정치 청산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책과 이념으로 뭉쳐야 하고 그 안에 정파가 있어야 한다. 그동안 누군가 한 사람이 나타나면 쭉 줄을 서는 우상숭배 정치를 해왔다”며 “대선 캠프에 500명이 넘는 법조인과 언론인, 2천명이 넘는 교수들이 몰린다. 이게 나라냐. 이런 정치 풍토를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제가 조강위원이 되면 이런 것들을 타파하려고 한다”며 “최소한 한국당 안에서는 친박(친박근혜), 비박(비박근혜), 친홍(친홍준표), 친김(친김무성)이니 하는 말은 나오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적쇄신의 원칙으로는 ‘국가 어젠다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도덕성’을 손꼽았다. 그는 “국정 어젠다에 대한 이해 없이 ‘나는 통치자가 되겠다’는 꿈을 꾸는 사람이 있다면 사기꾼에 불과하다”며 “여기에 정직함과 결단력, 자기 희생의 정신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자신의 지역구를 얼마나 잘 관리했는지만 중요한 게 아니다”며 “(지역 조직관리 부분에서)아무리 높은 점수를 받더라도 의원으로서 기본적인 품성과 열성을 갖추지 못하면 다른 사람에게 (지역구를)양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른미래당을 염두에 둔 통합 전당대회 발언에 대해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전 변호사는 “지금처럼 절박한 때에 보수가 분열돼서는 희망이 없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취지에서 조강특위 위원으로서 내 개인의 뜻을 천명한 것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그는 “조강특위가 보수 단일대오를 위해 바깥에 있는 보수 성향의 의원, 바른미래당 분들의 자리를 비워둔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 변호사는 조강특위 활동의 전권을 위임받아 253개 당협위원장 직무 평가와 인선을 주도한다. 당협위원장은 21대 총선과 직결되는 만큼 조강특위의 행보에 정치권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강특위는 사무총장과 부총장 등 3명의 주요 당직자(내부인사)가 당연직으로 참여하고, 전 변호사를 포함해 4명의 외부인사가 위원으로 합류하게 된다. 이들의 면면은 8일쯤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