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위기의 TK… “한국당 의원 전면에 나서야”

박형남기자
등록일 2018-09-03 21:02 게재일 2018-09-03 3면
스크랩버튼
유일하게 야당 소속 자치단체장이 있는 TK <bR>  文 정부, 내년 예산·장차관 인사 철저히 홀대<BR>“중진의원들 지도부 입성해 지역 목소리 내야”

위기에 놓인 대구·경북(TK) 발전을 위해 TK정치권이 본격적으로 움직일까.

문재인 정부가 471조원의 ‘슈퍼 예산’을 편성한 가운데 유일하게 야당 소속 지방자치단체장이 있는 TK지역 예산만 삭감했다.

여기에 TK인사 홀대까지 이어지면서 그 어느 때보다 TK정치권의 역할이 중요한 상황이다.

자유한국당 TK의원들은 이대로 있으면 마지막 보수의 자존심인 TK마저 여당에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 의식을 가져야 하고, 더불어민주당 소속 TK의원 역시 동진정책에 시동을 걸기 위해선 TK홀대론을 불식시켜야 하는 책임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지역정가에서는 TK의원들의 역할론을 주문하고 있다.

한국당의 경우 주요 지지기반인 TK를 지키기 위해서는 한국당 TK의원들이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실제 한국당 소속 의원들로 중심이 된 TK발전협의회가 전면에 나서 ‘TK홀대론’을 비판하며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또 사안에 따라 TK의원들이 자주 모여, TK발전 및 TK지키기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더 나아가 그동안 한국당내 최대 주주로 불리면서도 국회와 당직에서 소외된 인상이었지만 향후 있을 원내대표 선거, 전당대회 등에서 전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지역 정치권의 한 야권 인사는 “6·13 지방선거 당시 수도권 등 지역에서 전멸한 가운데 한국당 TK의원들은 대구와 경북을 지켜냈다. 한국당이 존재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면서도“동진정책을 통해 민주당이 TK를 공략하고 있는데다 TK예산 홀대론까지 겹치면서 한국당의 확실한 지지기반인 TK마저 여당에 빼앗길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TK의원들이 주요 당직을 맡지 못하거나 당 전면에 나서지 않는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야권 인사는 “내년 2월에 있을 전당대회에서도 TK의원들이 지도부에 입성해야 한다. 한국당 최고위원회는 의사결정 기구이기 때문에 TK의 목소리를 대변할 필요가 있다”며 중진 역할론을 강조했다.

현재 한국당 내 TK중진의원은 최경환(경산), 김재원(상주·의성·군위·청송), 주호영(대구 수성을), 강석호(영양·영덕·봉화·울진), 김광림(안동) 의원 정도다.

그러나 최 의원은 국정원 특활비 문제로 구속수감돼 있고, 김 의원은 화이트리스트(박근혜 정부 시절 혜택을 줄 보수 단체 목록) 사건에 가담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어 TK의원들 모임 등 각종행사에도 불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호영·강석호·김광림 의원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특히 이들은 암묵적으로 향후 행보에 대한 교통정리도 한 모양새다.

실제 강 의원은 차기 원내대표 도전 의사를 밝히고 있다. 당 화합을 도모해 강한 야당으로서 대여투쟁을 이끄는 원내사령탑이 되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강 의원은 김무성 전 대표와 가까운 비박계이지만 계파색이 옅다. 게다가 비박계의 복당 후 친박-비박계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인물로 손꼽히고 있다.

‘원내대표 도전설’이 나돌았던 주 의원은 차기 전당대회 당대표 출마 여부를 고심 중에 있다.

주 의원은 “원내대표 선거는 11월, 당대표 선거는 내년 2월 정도에 열린 것으로 보인다. 먼저 있을 원내대표에 도전한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 원내대표 선거에 나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김무성, 홍준표 전 대표가 나서지 않는다면 당대표에 출마할 것”이라며 ‘조건부 당대표 출마론’을 거론했다.

또 다른 중진인 김 의원은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최고위원 도전설이 나오고 있다.

정책위의장을 여당과 야당 시절 두 차례나 맡았던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지금은 반성할 때”라면서도 최고위원 도전설에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이 외에도 재선의 윤재옥(대구 달서을), 김상훈(대구 서) 의원도 최고위원에 출마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도 TK공략에 나서고 있는 만큼 TK특위 가동 등을 통해 TK홀대론을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

TK지역의 유일한 여당인 김부겸(수성갑) 행정안전부 장관, 홍의락(대구 북을) 의원을 비롯해 TK특위 의원들이 삭감된 예산을 복원하는 일에 앞장선다면 TK민심도 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역정가에서는 여전히 민주당이 정치적으로 이용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적지 않다.

실제 민주당은 “TK차별은 없다”, “TK지역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아직까지 ‘말’뿐인 상황이다.

홍 의원은 또 “무엇이 문제고 원인인지에 대한 관심은 없고, 예산 때만 되면 연례행사가 되는, 영혼 없는 푸닥거리는 그만하고 제발 정신 좀 차렸으면 한다. 공무원들이 흘린 정보에 이렇게 깨춤을 추면 전혀 개선이 되지 않는다”고 밝혀, TK발전이 아니라 편가르기만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비판을 피하기 위해서는 민주당 TK의원들 및 민주당 TK특위가 TK발전을 위해 무엇을 했는지 행동으로 보여줄 때라는 게 지역정치권의 공통된 얘기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