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의원들 “‘TK죽이기’ 도 넘었다”

박형남기자
등록일 2018-08-31 20:40 게재일 2018-08-31 3면
스크랩버튼
내년도 국회 예산안 심의과정 전력 투쟁 다짐<BR>한국당 TK발전협의회장에 주호영 의원 선출<BR>시·도당 위원장 곽대훈·장석춘 의원 합의추대
▲ 자유한국당 대구경북발전협의회는 3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을 ‘대구경북 죽이기 예산’으로 규정하고 국회 차원의 투쟁을 펼칠 것을 천명했다. /박형남기자

자유한국당 소속 대구·경북(TK) 의원들이 30일 ‘TK패싱’, ‘TK죽이기’를 내세우며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고 나섰다.

내년도 정부 예산 편성안을 살펴보면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한국당 소속 단체장이 있는 TK지역만 삭감됐고,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TK인사 홀대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더욱이 정치권 안팎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첫 현장회의를 TK의 본거지인 구미에서 개최하는 등 TK지역 공략에 나서는 상황에서 한국당 TK의원들이 TK패싱론을 꺼내든 것은 보수텃밭인 TK지역을 지키기 위한 것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다. 나아가 강석호(영양·영덕·봉화·울진) 의원은 원내대표에, 주호영(대구 수성을) 의원은 당대표 에 도전해 TK의 자존심을 지키는 것은 물론 TK정치력 복원과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결성된 TK발전협의회도 정례·상시로 개최할 계획이다. 그런 차원에서 TK의원들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모여, 홍준표 전 대표가 대표직을 사임하면서 공석인 TK발전협의회장에 주호영 의원을 만장일치로 선출했다. 게다가 TK예산 홀대에 대한 별도 기자회견을 TK발전협의회 차원에서 갖자는 의견도 도출했다.

그 결과 한국당 TK의원들이 중심이 된 TK발전협의회는 이날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471조 규모의 슈퍼 예산에도 불구하고 TK지역 예산만 큰 폭으로 감소했다. 문재인 정부의 ‘TK패싱’, ‘TK죽이기’가 도를 넘었다”며 “TK에 대한 인사차별에 이어 예산차별을 심화시키는 문재인 정부는 지금이라도 반성하고, 국토균형발전의 대원칙을 지켜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TK발전협의회는 “2019년도 정부 예산안에 의하면 대구시는 2조8천900억원으로 금년 대비 1천143억원이 감소됐고, 경북도는 3조1천635억으로 금년 대비 839억원이 감소했다. 이는 부산 7천186억원 증액, 광주 2천346억원 증액, 대전 1천822억원 증액, 전남 6천8억원 증액 등 타 시도는 모두 증가하는 상황에서 TK만 감소한 것이다. 당초 요청액과 비교해도 대구시는 12.4%, 경북도는 42%나 삭감됐다”며 TK홀대론을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인구수를 비교해도 TK의 예산배정은 타 시도에 비해 지나치게 적게 편성됐다”며 “2017년말 기준 대구 인구는 248만명으로 부산(347만명)의 0.7배, 광주(146만명)의 1.7배 정도 수준이다. 하지만 이번 예산안에서 대구의 2조8천900억원은 부산(6조613억원)의 절반도 되지 않고, 광주(2조149억원)의 1.4배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면적도 대구경북이 가장 넓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특히 “문재인 정부의 SOC 예산 대폭 삭감의 유탄은 고스란히 TK가 맞고 있다. 경북의 경우 지난 수년간 해마다 3조5천억원에서 4조원대를 상회하던 SOC 예산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1조7천290억원으로 반토막이 났다. 대구시도 광역철도 건설 예산 225억원 중 고작 10억원만 반영됐다”며 “그동안 서남해안 중심의 ‘L자형’ 국토개발에서 대구경북과 동해안권을 연결하는 ‘U자형’ 국토개발로 가는 동력이 상실된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TK에 대한 인사차별에 이어 예산차별을 심화시키는 문재인 정부는 지금이라도 반성하고 ‘국토균형발전’의 대원칙을 지켜주길 바란다”며 “한국당 대구경북발전협의회 구성원 모두는 현 정부의 TK차별에 대응해 내년도 국회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전력을 다해 투쟁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한편, 이날 오찬 회동에서 김상훈(대구 서) 대구시당위원장과 김석기(경주) 경북도당위원장은 각자의 후임 위원장으로 곽대훈(대구 달서갑), 장석춘(구미을) 의원이 만장일치로 합의 추대됐다고 전했다. 또 예산 문제 대응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