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 대표가 취임 초기부터 강경한 태도를 보이면 청와대가 부담스러워할 수 있다. 이른바 당내 갈등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장하성 정책실장 간의 불협화음이 노출된 상황에서 당정청 불화설까지 불거지면 여권 전체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 부담스럽다. 이에 따라 초기에는 변화를 이끌기보다는 실용주의로 정국 주도권을 끌어올린 뒤 본인 목소리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 대표가 ‘긴밀한 당정청’, ‘최고 수준의 협치’를 강조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실제 그는 전당대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여야 관계에 대해 “근본적으로 대립하는 사안에 대한 합의가 안 되더라도 충분히 논의해 상대 입장을 파악하고 우리 입장을 이해시키려는 논의를 성실하게 많이 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진보진영 일부에서 비판하는 규제개혁에 대해서도 정부의 정책 방향에 발맞춰 가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 대표는 “규제완화에 대해 여러 말들이 있을 수 있다”며 “국무총리를 지냈을 때 보면 규제라는 것은 1년에 150개가 생기고 없어지는데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더 나아가 당정청 불화설이 나오지 않도록 물밑작업을 통해 관계를 조정하는 등 소통 행보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여야 5당 대표 회담 등을 거론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현 정국이 장기화할 경우 이 대표는 국면 전환을 위해 강경책으로 방향을 틀 수도 있다. 당원들이 강한 리더십을 요구했던 만큼 당정청 관계 변화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 이 대표는 전당대회 정견발표에서 “제가 당 대표가 되면 당이 안 보인다는 말은 사라질 것”이라며 관계 재정립을 예고했다.
특히 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변화를 당이 이끌어낼 가능성도 농후하다. 이 대표는 대표 수락연설에서 “대통령을 도와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 공정경제가 조화를 이루는 포용적 복지국가를 만들겠다”며 포용성장에 방점을 찍었다. 이를 두고 전당대회 현장에선 소득주도성장보다 혁신성장에 무게를 둬 경제정책 기조 변화를 고려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