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한국당 “정부 ‘탈’원전정책, 결국 ‘탈’ 났다”

김진호기자
등록일 2018-08-02 20:49 게재일 2018-08-02 3면
스크랩버튼
22조원대 영국 원전 건설<br />  우선협상대상 지위 상실<br />“무리한 탈원전 정책 때문”
▲ 자유한국당 백승주(왼쪽부터), 최연혜, 이채익 의원이 1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한전 영국 원전 우선협상자 지위 상실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전의 원전건설 우선협상 대상자 지위 상실사태를 맞아 자유한국당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자유한국당은 1일 한국전력이 22조원대 영국 원전 건설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상실한 것과 관련해 “정부의 무리한 탈원전 정책 때문”이라며 맹공을 퍼부었다.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탈원전’을 선언한 국가에서 오랜 기간 전문가와 필요부품을 적기에 조달하기는 쉽지 않다”며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22조원의 원전 수주를 어렵게 했다”고 밝혔다.

윤 수석대변인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최종적으로 영국 원전 수주가 불발된다면 앞으로 우리나라의 원전수출은 더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회 원전수출포럼과 한국당 탈원전대응특위 소속 의원 30여 명도 보도자료를 내고 “한전의 우선협상자 지위 상실은 이미 예견돼왔던 일로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자기는 위험하다고 쓰지 않는 물건을 다른 나라에 팔겠다는 발상 자체가 비도덕적, 비윤리적일 뿐만 아니라 현실을 전혀 모르는 탁상공론이고 허무맹랑한 발상”이라며 탈원전 정책 철회를 요구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인 홍일표 의원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급속히 추진돼 원전 기술인력을 유지할 수 없다는 걱정을 했는데 이런 걱정이 현실화된 것”이라며 “국회가 열리면 본격적인 대책을 정부에 촉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출신인 윤상직 의원도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는 한국에서 영국으로 기자재 등을 납품할 수 있는지가 계약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며 “원전 건설이 문제가 아니라, 건설 후 60년 이상 해야 할 유지·보수 작업이 탈원전 정책으로 불투명해졌다”고 꼬집었다.

심재철 의원 역시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은 원자력으로 회귀하고 있고, 중국은 세계 최다 원전국이 돼 가고 있으며, 일본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강화된 원전 기준으로 원전 9기를 다시 가동시켰다”며 “우리나라만 잘못된 정부 정책으로 역주행할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