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일 계란은 축산물위생관리법상 표시대상 축산물로 분류돼 생산 시·도와 생산자를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소비자는 숫자, 한글, 영문자의 조합으로 된 표시사항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경북도에 따르면 각 지자체별로 부여된 두 자리는 고유번호로 계란이 생산된 시·도를 나타내고, 생산자는 일반란의 경우 축주명 또는 농장명을 한글로 표시하거나 영문약자(영문 3자리)를 사용한다. 또 등급란은 생산자 번호 세 자리와 계군번호 두 자리까지 총 다섯 자리 숫자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경북 소재 `가나다` 농장의 홍길동(HGD)이 생산한 계란의 경우 일반란은 `14 가나다` 혹은 `14 홍길동` 또는 `14 HGD`로 표시하고, 등급란은 `14 12345`로 표시한다. 이때 14는 경북 고유번호로 가나다, 홍길동, HGD, 123은 모두 생산자, 마지막 45는 생산된 계군을 의미한다.
지난해 11월부터 경기, 충청 등 10개 시·도를 강타한 AI는 산란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해 전국 산란계 7천104만수 중 32.9%가 감소했다. 그 결과 지난해 11월 개당 185원이었던 계란 소비자 가격이 올해 1월에는 1.7배 높은 318원까지 급상승했다.
/권기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