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역사는 `통치자 중심`의 정치사가 우선이지만, 북한의 역사는 민중을 중심에 세운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조차 가르쳐주지 않는다. 탈북자들은 “우리 글은 김일성이 만든 것”이라 한다. 북한 국사교과서는 명성황후를 `민비년`으로 적어놓고 있다. 노비들의 반란, 민란, 서민층의 역사가 교과서의 중심에 있다.
국정 역사교과서 편찬작업이 비밀리에 진행중이다. 좌파들의 방해가 워낙 극심해서 그렇게 되었다. 국정교과서는 이달 중에 원고본의 수정 보완 작업을 거쳐 개고본 심의에 들어가고, 11월 28일 현장검토본을 공개한 뒤 수정 보완해 국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그리고 내년 1월에 결재본이 심의 확정되면 교과서를 인쇄 배포해 3월부터 학교에서 가르친다. 교육부는 전국 시도교육청에 공문을 보내 “2017학년도 한국사 교과서 등을 포함한 1학기 교과서를 14일까지 주문 완료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상당수의 중·고교 역사 교사들이 국정 역사교과서를 반대하고 있어 마찰 갈등이 불가피할 조짐이다.
분단국가에서는 국사교과서도 이념에 따라 갈라진다. 우파적 시각으로 기술된 국사와 좌파적 관점에서 기술된 국사가 같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역사교과서의 갈등 마찰 반목 분열`은 분단국가의 비극이다. 좀처럼 해결하기 어려운 숙제지만, 그렇다고 `문제`를 그냥 덮고 갈 수도 없는 일이다. 북한은 모든 교과서가 국정(國定)이므로 그런 갈등이 생길 리 없다. 정부정책에 무조건 따르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사상의 자유가 보장된 한국에서는 `극심한 분쟁 거리`가 된다. 좌파들의 `역사쟁탈전`이 너무나 극렬하기 때문이다. 그것은`교학사 국사교과서 사태`에서 잘 나타났다.
비밀리에 편찬작업을 마친 역사교과서 내용이 공개되면 또 분란이 일어날 것은 자명하다. 좌파들의 마음에 들지 않는 내용이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을 좌파들은 극히 싫어하고, 일본군위안부 문제에서도 해석이 엇갈리고, 대북(對北)정책에서는 확연히 다른 입장이고, 외교에서도 친미(親美)와 친중(親中)이 갈라진다. 그렇다고 이러한 쟁점들을 피해 갈 수도 없는 노릇이다.
다만 `논란의 소지가 많은 부분은 간단히 약술`하고, 훗날 통일이 된 후 정식으로 기록한다는 편법을 쓸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적화통일되지 않는 한 `자유민주주의·법치주의·자본주의`라는 정체성은 고정불변이다. 그렇다면 역사교과서의 내용도 그에 따르는 것이 마땅하다. 우리역사가 분쟁의 제물이 되어서 누더기처럼 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