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문화재는 국민 공유 재산이다

등록일 2016-06-16 02:01 게재일 2016-06-16 19면
스크랩버튼
과거의 문화재보호법에는 `국가보상제도`가 있었다. 소장자가 유물을 내놓으면 정부가 국보·보물·지방문화재 등으로 급수를 매겨서 보상금을 주고 국가소유로 환수했다. 그러나 그 보상금이 그리 만족스럽지 못하니, 소장자들은 신고하지 않고 숨기고 있다가 외국인에 팔기도 했다.“개인소유 금지·보상제도는 문화재의 국외유출을 조장한다”는 여론이 일자, 법을 바꿔 `국외 유출 방지`조항만 남기고 보상조항은 없앴다. 그것은 문화재를 사고 팔 길을 열었고, 많은 문화재가 경매시장에 나오게 됐다. 그러나 `상주본 훈민정음해례본`같은 책은 `값 흥정`이 되지 않아 계속 감춰져 있다.

문화재가 세상에 나오면 정부는 `급수`를 매기는데, 급수가 정해져서 가격이 뛸때 경매시장에 나오는 경우가 많다. 가령 조선시대의 희귀본`주역동참계`가 보물로 지정되자 한 달 여만에 경매시장에 나왔다. 추정가는 1억8천만원에서 2억8천만원 사이라 한다. 이 책은 1434년에 금속활자 갑인자로 찍은 유일본이고,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본 성서보다 앞섰다는 점에서`보물급`이 된 것이다. 값이 뛸 때를 기다렸다가 매물로 내놓는 이런 현상에 대해 “문화재는 개인의 소유물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향유해야 할 공유재산”이라 면서 “문화재 지정 후 일정 기간 매매를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문화유산을 기증·기탁하는 사례도 많다. 문화재 공유의식의 발로라 할 수 있다. 상주박물관은 최근 10명의 기증자로부터 고서·고문서·농경유물 등 400여 점의 유물을 기증받았다.

전영윤씨는 청자접시 등 3점을, 최영순씨는 농경유물을, 황의삼씨는 목판 45점을, 김혜진씨는 1924년도 제1회 상주농잠학교 졸업앨범을 기증하는 등 문화유산 공유행렬에 동참하는 이들이 늘어난다. 이보다 앞서 2012년에는 진주강문 강영석씨는 고서 고문서 53건 72점을 기탁한데 이어 올해에는 강세응 문과급제 교지 등 56건 77점을 기증했고, 강주석씨도 강세응 호구단자 등 20건 21점을 기증했다. 뇌암 강세응은 조선 영조때 상주에서 태어나 고종때까지 벼슬살이를 하며 학행이 탁월했던 인물이다.

경주시 안강읍 소재 여주이씨 옥산파 종가 독락당에 소장돼 있던 목판 6종 108장이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됐다. 진흥원은 이 목판을 유네스코 기록유산인 `유교책판`에 추가 등재할 예정이다. 진흥원이 소장한 목판은 이번 기탁을 합해 총 6만5천927장의 목판을 소장하고 있다. 목판의 중요성을 몰랐던 시절에는 아이들이 겨울에 이 목판으로 스케이트를 만들어 탔고, 그래서 많은 목판들이 없어졌다. 경북도가 삼국유사 목판을 새로 조성하는 것도 목판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문화유산은 국민 공유의 재산이라는 인식을 다질 필요가 있다.

오피니언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