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들은 `대통령의 사과·반성`과 `청와대·정부 참모 개편` `유승민 포용`등을 요구하지만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할 일이 별로 없었다”며 국회에 대한 서운함을 내비쳤다. 총선 결과는 정부 여당에 대한 국민의 심판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3당체제를 만들어 준 것이 국민의 뜻”이라 했다. 양당체제에서는 치킨게임으로 되는 일이 없었으니 완충지대를 만들어준 것이란 해석이었다. 결국 야당과 대통령의 `해석 차이·시각 차이`를 확인하는 간담회였다.
그러나 `대통령의 소통문제`는 여전히 쟁점으로 남아 있다. 이번 청와대 간담회에서 지방신문은 철저히 배제됐다. MB정부와 참여정부는 그렇지 않았다. 중앙언론인들을 초청하면 지방언론도 불렀다. 그러나 박근혜정부는 별로 지방언론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 지방방송사들이야 중앙 본사 소속 지사(支社)여서 그렇다 치고 신문사의 경우는 중앙지에 예속된 지방신문이 없다. 그러니 “중앙언론만 언론이고 지방신문은 언론도 아니냐”는 소리도 나오고 “선거때만 지방에 와서 표 구걸하고 선거 끝나면 남이냐”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이같은 대통령의 불통이미지는 지지율을 떨어뜨린다. 최근에 발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를 보면 박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못한다는 응답이 58%로 지난 주보다 10%나 급증했다. 그 이유는 주로 `소통 미흡(20%)`이었다. 과거 DJ정부때는 언론이 문제제기를 하면 정부는 `귀 밝게 듣고` 지체 없이 정책에 반영했고 그래서 `막 퍼준 햇볕정책`을 무난히 이끌어갔다. 그런데 박근혜정부는 `대통령의 소신`을 너무 앞세워서 불통이란 비난을 듣는다. 대통령이 가끔 소신을 굽히는 것도 `용기`다. 세상에 독불장군은 없다.
“사람이 다스려지지 않거든 자기 자신을 돌아보라”란 잠언이 논어(語)에 나온다. 국회가 대통령의 말을 잘 듣지 않거든 대통령 자신을 돌아보라는 말로 바꿀 수 있다. 소통이란 `말의 오고 감`인데 그 대화 없는 일방적인 요구는 `부하에 대한 지시`로 비칠 수 있고 3권이 분립된 체제에서 행정부의 지시를 고분고분 따라줄 입법부는 없다. 비록 대통령의 뜻이 `훌륭하다 `여겨지더라도 `입법부의 독립성과 권위를 위해`엇박자를 보일 수 있는 것이다.
대통령은 일방통행식 운영방식에 대한 충고를 겸허히 들어야 한다. 최근 여론조사 기관의 발표에 따르면 TK지역에서도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에서 `부정적`이 `긍정적`을 앞질렀다. 그러니 다른 지역은 말 할 것도 없다.`자기 자신을 돌아보는 일`은 국정 추진 동력을 되살리는 방법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