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광복 직후 국외 반출 위기 우리 문화재 공개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4-25 02:01 게재일 2016-04-25 13면
스크랩버튼
국립경주박물관 26일부터 6월 19일까지<Br>`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수집품` 특별전
▲ 백자청화호문대발, 조선 18세기 후반.

국립경주박물관(학예연구실장 김유식)이 일제강점기(1910~1945) 일본인들이 수집했던 우리 문화재를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한다.

26일부터 6월 19일까지 특별전시관에서 열리는`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수집품`특별전은 `도자기`, `회화`, `중국 청동용기`, `보존과학`과 `일제강점기 복제된 우리문화재`등 모두 5부로 구성해 우리나라의 고려청자, 근대회화, 중국의 고대 예기 등 200여 점과 광복 이후 입수현황을 알 수 있는 관련 문서 등을 일반인에 처음 공개한다. 또한 일제강점기 당시에 수리 및 복원된 문화재를 전시해 20세기 초의 박물관 기능과 보존처리 기법도 함께 소개한다.

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 가운데는 일제강점기(1910~1945) 일본인들이 수집한 한국·중국·일본 관련 문화재 1천302건 2천653점(금속 519점, 도토제 1천236점, 서화 695점, 기타 203점)이 있다. 이 문화재의 일부는 광복 직후 일본으로 불법 반출시키지 못하고 박물관으로 입수됐으며, 일부는 1963년 광복 당시 숨겨뒀던 비밀 창고가 발견돼 박물관으로 옮겨져 접수품으로 등록 관리하고 있다.

△제1부 도자

19세기 초 개성 밭에서 우연히 발견된 고려청자를 계기로 일본인은 고려청자 구입에 돈을 아끼지 않았다. 예를 들면 조선총독부 초대통감인 이토 히로부미는 고려청자 수집광이었고 이왕가박물관을 설립한 고미야 미호마쯔 역시 집안 가득 문화재를 수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복 후 오구라 다케노스케 등 일본인 3명으로부터 접수해 국립경주박물관에 입수된 도자는 모두 574점이다. 이 중 우리나라의 고려청자·조선백자·분청사기·청화백자와 중국 서진시대 청자·북송시대 월주요 청자·자주요 백자 및 일본의 20세기 초 유행한 이마리도자·라쿠양식 도자 등 103점을 전시한다.

△2부 서화

조선시대는 건국초기부터 도화원(圖畵院)이 설치돼 사대부와 화원들이 당시 회화의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화원화가의 전통은 조선후기 한국적인 정서를 가장 잘 보여주는 정선의 진경산수, 김홍도와 신윤복의 풍속화 등이 탄생하는 밑거름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은 식민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조선미술을 독창성 없는 중국의 아류로 보려는 풍조가 지배적이었다. 이에 따라 중국화풍을 따른 이인문과 심사정의 정형산수화를 더 애호했고, 일본의 우키요에와 유사한 화조도나 풍속화 수집에 치중했다. 또한 일본서화의 경우에는 에도시대 이후 인물도와 화조도를 포함해 서양화법이 가미된 풍경화 수집이 주류를 이뤘으며, 이밖에도 제국주의 정책을 옹호하기 위해 그려진 불화를 다수 수집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당시 이러한 일본인의 미술품 애호 성향이 반영된 서화 15점이 공개된다.

▲ 청자상감쌍어문호, 15세기 전반. <br /><br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청자상감쌍어문호, 15세기 전반.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제3부 중국 청동용기

`중국 청동용기`는 제작된 시기에 따라 청동예기(靑銅禮器)와 방고청동기(古靑銅器)로 나눌 수 있다. 청동예기는 중국 상주시대(商周時代·기원전 16세기~ 기원전 771)부터 한대(漢代·기원전 206~기원후 220)까지 제작됐다. 고대 중국의 황실과 귀족들이 제사, 연회, 전쟁 등 의식을 거행할 때 사용한 용기로 사용자의 지위와 신분, 권력에 따라 엄격한 제한이 있었다. 용도에 따라 음식 담는 그릇(食器), 술 담는 그릇(酒器), 물 담는 그릇(水器)으로 나눌 수 있다. 방고청동기는 북송(北宋·960~1127)부터 청대(淸代·1644~1911)까지 제작된 고대 청동예기의 모방품이다. 당시 일본인들은 우리나라 문화재 이외에 중국문화재도 다수 수집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들이 수집한 중국 청동용기 53점을 소개한다.

△4부 보존과학

보존과학 전시는 문화재보존을 이해하고 문화재를 과학의 눈으로 다시 살펴보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했다. 올해는 박물관 6대 기능에 속하는 보존이 국립박물관에서 그 역할을 시작한지 40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 전시품들이 수집됐던 일제강점기당시의 보존기술에 주목해 현대의 보존기술과 비교해본다. 문화재의 보존에 얽힌 이야기와 과학의 시선으로 관찰하면서 문화재와 보존과학을 새롭게 느껴볼 수 있다.

△5부 일제강점기에 복제된 우리문화재

국립경주박물관이 소장한 전(傳) 경주 입실리 출토 청동기 5점은 1970년대 경주박물관에 근무한 이건무 전전 국립중앙박물관장에 의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의 복제품이라는 사실이 판명됐고, 2007년 학술발표에서 일반에 소개됐다. 입실리 출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은 1920년 동해안 철도공사 중 발견됐다가 산일(散逸)된 것으로 조선총독부박물관이 1921년 일본인 모로가 히데오에게 구입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복제품의 정확한 출처와 복제 목적 등을 알 수 없었다.

박물관은 이번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일본책 `고고학관계자료모형도보(考古學關係資料模型圖譜·1931년)`와 `고고학관계자료모형목록(考古學關係資料模型目·1930년)`의 존재를 확인했고, 검토 결과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복제품들은 일제강점기 교토제국대학 교수 하마다 고사쿠가 추진한 동서양 중요문화재 모형제작프로젝트의 결과물(총 230여점) 중 일부이며, 모형 제작은 교토에 위치한 우에노제작소에서 진행했음을 확인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고고학관계자료모형도보` 실물을 공개하며, 경주 입실리 출토 진품 청동기와 복제품을 비교 전시한다. 또한 이 책에 수록된 전(傳) 충남출토 동경(접수 546) 복제품 1점도 함께 전시해 그 동안 의문으로 남았던 이들 복제품들의 출처와 성격을 소개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