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자는 “국제기구 등을 통한 대북 협력사업을 중단하고, 새로운 계획도 잡지 않는 상황”이라고 했다. 북한의 핵실험 이후 유럽, 동남아, 중남미 10여개국이 북한과 외교대화를 보류하거나, 평양 주재 공관 개설협의를 중단했다. 북한의 수교국은 160개국인데, 1983년 미얀마 아웅산묘소 폭탄테러, 1987년 KAL기 폭파테러, 천안함 폭침, 그리고 지난해의 `유엔 북한인권보고서` 발표 등이 있을 때마다 상당수의 국가들이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단절했었는데, 이번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핵무기 개발 자금`이 북으로 흘러가는 통로 차단에 국제사회가 동참한다.
박근혜정부는 개성공단 중단 이후 추가적인 `돈줄 차단`을 이어가고 있다. 해외에 나가 있는 북한 식당은 12개국 130개 정도인데, 아시아에 주로 있고, 러시아와 UAE에도 있다. 이 식당 한 곳이 평양에 보내는 `충성자금`은 한 해 30만 달러 정도라 하니, 연간 1억 달러나 돼 개성공단의 송금규모와 맞먹는다. 이 돈이 핵무기·미사일 개발에 들어가는 것은 의심할 바 없이 자명한 것인데, 야당 일각에서 “구체적 증거를 대라”고 대든다. 그러나 이런 `핵무기 자금`을 `증거 남기면서` 쓰는 바보는 없고, `정보 제공자`의 신원을 밝히는 멍청이 또한 없다.
정부가 여행사에 대해 “관광객 식사 코스에 북한 식당 이용을 삼가해 달라” 부탁하는데, 종북좌파가 아닌 정상적인 국민이라면, 부탁을 하든 안 하든 알아서 할 것이다. 우리를 노리는 대량살상무기 제조에 자진해서 돈을 보태주는 상식 이하의 짓을 누가 하겠는가.
향후 대북 곡류와 비료 지원, 영유아 영양제 공급, 의약품 지원 등 이른바 인도적 지원도 끓어질 것이고, 평양과학대학에 대한 인력·기술 지원이나 문화재 공동개발 등 학술 문화 분야의 협력도 전과 같지 않을 것이다.
한편 여당에서는 `핵무장론`이 일어나는 중이다. 홍준표 경남지사는 `미군 전술핵 재배치`를 주장했다. 일본은 플루토늄을 확보해 놓고 여차하면 핵무기를 만들 준비가 완료돼 있는데, 미국은 유독 한국에는 플루토늄 추출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풀어서 우리도 `만반의 준비`를 해놓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