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br>편애 않는 스타일… 더 냉철한 행보 가능성<br>수혜?<br>친박계 `전략·물갈이 공천` 가능성에 기대
새누리당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원장에 4·13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이한구 의원이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알려지자 TK지역 현역의원들이 긴장하고 있다.
공천에 영향력이 가장 큰 공천위원장의 행보여하에 따라 TK지역 의원들의 이해득실도 엇갈릴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우선 이한구 의원의 공천관리위원장 추대는 거의 확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이 의원의 공관위원장 인선에 강경하게 반대해온 김무성 대표는 지난 1일 강원도 철원 육군 전방부대 전망관측소(OP)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한구 의원이 공관위원장을 맡는 것으로 좁혀졌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이한구 위원장 발표를 왜 미루느냐`는 질문에 “위원들도 한꺼번에 하려고 (미뤘다)”라며 이 위원장 내정을 부인하지 않았다.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 역시 2일 “이한구 의원이 공관위원장을 맡는 쪽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고, 다른 핵심 관계자 역시 이 의원의 공관위원장 추대설에 대해 “그렇게 결정됐다”고 말했다.
서청원 최고위원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의원의 공관위원장 추대 여부에 대해 “그렇게들 생각해달라”고 답했다.
따라서 이 의원이 공천위원장으로서 업무를 맡을 경우 TK지역 현역의원 공천에 어떤 영향이 미칠까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이 의원은 친박(친박근혜)계로 분류되는 4선 중진 의원으로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을 지낸 경제 정책통이다. 이 의원은 또 친박계 의원이면서도 박근혜 정부의 경제민주화나 국가부채·가계부채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을 할 정도로 꼿꼿한 국회의원으로 정평나 있다. TK 친박계 의원이면서도 다른 TK의원들과는 남다른 캐릭터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이 의원은 최근 공천위원장에 내정된 뒤 언론 인터뷰에서 전략공천 필요성을 주장해온 것과 관련 “외부에서 좋은 인재들이 충원돼야 한다고 생각해왔다”며 “당헌·당규에 따르면서 방법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현행 당헌·당규에는 우선추천제와 단수추천제, 자격심사 등 물갈이 공천 또는 전략적 공천으로 이어질 여지가 큰 내용들이 곳곳에 포진해 있다. 공천위의 운영여하에 따라서는 친박계가 바라는 `대폭 물갈이 공천`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지역 정치권에서는 이 의원의 평소 처신을 미뤄 판단해보면 친박계나 비박계라고 해서 편애는 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이 의원이 사리사욕을 취할 정치적 상황이 아닌데다 불출마를 선언한 상황에서 명예롭게 퇴진하는 것을 바랄 것이란 점에서 공정하게 공천위를 운영할 것이란 기대도 크다. 그래서 외부의 권위있는 인사보다 더욱 공정·냉철하고 신뢰성있게 공천위를 운영할 것이란 관측들이 많다.
그러다보니 일각에서는 오히려 친박계가 왜 이한구 의원을 공천위원장으로 미는지 이해되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TK의원실의 한 관계자는 “이 의원 스타일로 보면 친박계나 비박계에서 특정인사를 봐달라고 했다가는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될 것”이라며 “다시말해 청와대에서 오더를 내려도 말을 듣게 하기 어려운 인사가 이 의원인데 친박계의 속내를 모르겠다”고 의문을 표하기도 했다.
TK지역 4선중진의원으로서 불출마를 선언해 마지막 정치적 책무를 맡은 이한구 의원의 행보가 TK지역 20대 총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진호기자
god0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