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더 나은 한국사회로 나아갈 길 제시

정철화기자
등록일 2015-05-29 02:01 게재일 2015-05-29 13면
스크랩버튼
`미래사회의 리더십…`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지음 아시아 펴냄, 322쪽

우리 사회가 더 나은 공동체로 가기 위한 변화의 길은 무엇이고 또 더 나은 공동체로 가는 시대정신과 비전은 무엇인가.

이 질문은 `현재 공동체에서 벗어날 수 없는 우리`에게 당위적 책무의 하나로서 미래전략 탐구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소장 최광웅)가 더 나은 공통체로 나아가기 위한 길을 찾아 나섰다.

지난 2013년 2월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부설로 출범한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는 미래사회를 조망하고 대응전략을 탐색하는 연구에 주력해 왔고 그 첫 번째 결실을 내놨다.

`미래전략연구` 시리즈로 기획한 첫 번째 단행본 `미래사회의 리더십과 선진국가의 엘리트 생성 메커니즘`(박태준미래전략연구총서 1)을 펴냈다. (주)아시아, 322쪽, 2만원.

거대담론적인 미래전략 연구가 이상적인 체제를 기획하는 원대한 작업에 주력한다면, 실사구시적인 미래전략 연구는 가까운 장래에 공동체가 당면할 주요 이슈들을 예측하고 대응책을 제시하는 작업에 주력한다.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는 앞으로 일정 기간 동안 후자에 집중 연구한 결과물인 총서를 지속적으로 출간, 더 나은 공동체를 향해 나아가는 사회적 자산으로 공유할 계획이다.

이번 총서는 류석진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조홍식 숭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박길성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최동주 숙명여대 글로벌서비스학부 교수가 집필에 참여했다.

이 책은 미래사회의 리더십과 권력의 미래, 미래의 권력 그리고 리더십, 미래 한국사회의 리더십에 대한 해설에 이어 국가 엘리트 생성 메커니즘에 대한 전문가들의 연구 내용들로 구성됐다.

△과학적 기반 위에서 미래의 리더십을 논하다

류석진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권력의 미래, 미래의 권력`을 설명하고 있다.

리더십은 시공간을 초월해 단 하나의 이상적인 전형(ideal type)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사회가 처한 구체적인 시대적, 맥락적 배경 속에서 발휘되고 평가받으며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할 수 있다.

즉, 리더십은 독립변수라기보다는 종속변수이다. 이와 같이 시대마다 요구하는 리더십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과거·현재·미래의 리더십은 각기 다를 수밖에 없다. 농경사회와 산업사회로 표상되던 과거의 리더십과 탈근대와 네트워크 사회로 규정되는 현재 혹은 가까운 미래의 리더십이 다를 것이고, 먼 미래의 리더십은 또 다른 모습일 것이다. 따라서 미래의 리더십을 논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사회 변화를 특정하고, 그 평가 기반 위에서 좀 더 과학적으로 전망해야 한다.

△미래 지향적 접근으로 한국 리더십을 논하다

조홍식 숭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미래 한국사회의 리더십`을 고찰했다.

문제는 세 가지다. 첫째, 우리가 설사 과거에 그 시대에 적합한 훌륭한 리더십을 가졌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21세기 대한민국의 모델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달리 말해 과거의 리더십은 현재 사회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둘째, 보수와 진보가 함께 기념하고 기억할 수 있는 리더가 없다는 것은 진정한 통합 리더십의 청사진을 그리는데 실패했다는 뜻이다.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리더십의 청사진을 공통적으로 그려내는 것은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과거의 리더십 논의로 미래를 구상하는 방법은 적절하지 못하다. 과거에 집착하면 할수록 미래에 대한 리더십을 구상하기가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주장하는 리더십의 위기는 △현재의 리더십을 의미하며, △공통의 리더십 모델 부재를 뜻하고, △방법론적으로 미래 지향적 접근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 포스텍 노벨동산에 세워진 청암 박태준 조각상.
▲ 포스텍 노벨동산에 세워진 청암 박태준 조각상.

△국가 발전의 핵심, 행정 관료 엘리트

박길성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의 `국가 엘리트 생성 메커니즘`에 대해 프랑스 독일 미국 행정관료 엘리트 사례로 설명한다.

국가 위기는 국가 리더십의 위기이며, 국가 리더십의 위기는 행정 관료 엘리트 양성의 위기다. 행정 관료 엘리트는 근대국가 형성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어느 시대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국가 발전의 핵심으로 중요하게 인지되어 왔다. 유능한 관료와 무능한 관료의 결절점이 국가의 흥망성쇠를 결정하는 가늠자로 여겨진 것이다. 유능한 정부는 유능한 행정 관료로 의해 만들어지고, 무능한 정부는 무능한 행정 관료로 인해 발생한다. 실제로 국가 전략의 대전환이 제기될 때면 어김없이 행정 관료 엘리트의 구성과 과정이 거론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英·獨·佛의 정치 엘리트 충원 메커니즘을 배우자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가 `정치 엘리트 생성 메커니즘의 국제비교 - 영국, 프랑스, 독일을 중심으로`란 주제로 담론을 펼친다.

모든 제도는 그 제도가 작동하는 사회환경과 상호작용하게 마련이어서, 다른 나라에서 잘 작동하는 제도를 한국에 이식해도 여전히 잘 작동한다는 보장은 전혀 없다. 특정 국가의 모델이 전면적인 벤치마크가 될 수 없는 이유이다. 세 나라의 정치 엘리트 충원 메커니즘과 한국의 당면과제를 대비시켜 보면, 영국의 제도로부터 정치의 전문성을, 독일의 제도로부터 정치의 사회적 대표성과 정당 기능의 활성화를, 프랑스의 제도로부터 관료 인센티브의 왜곡 방지를 각각 주요한 함의로 받아들여야 할 것 같다. 급격한 전환기에 서있는 한국의 당면과제들이 대부분 그 전환의 폭이 매우 크고 장기적인 정책시야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볼 때, 이것들은 어느 정당이 정권을 잡느냐라는 익숙한 한국식 관심사보다 훨씬 중요한 문제들이라고 생각된다. 제도는 그것을 구성하는 사람에 의해 현실이 된다. 정치 엘리트 충원 메커니즘의 변화를 통해 예측불가능성과 진영논리라는 걸림돌을 제거할 때 비로소 우리의 당면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국가발전을 주도한 기업 엘리트에 대해

최동주 숙명여대 글로벌서비스학부 교수의 `국가 엘리트 생성 메커니즘 : 국가발전을 주도한 기업 엘리트 연구`를 다룬다.

산업혁명 이후 현대국가의 등장과 이들의 융성과 발전의 이면에는 3대 권력인 정치, 자본(산업), 시민 권력의 견제와 조화가 있었다. 정치권력과 시민권력의 조화와 견제는 민주주의를 잉태했고 발전시켰다. 반면, 정치권력과 자본권력의 결탁과 협력은 때론 정치적으로 비민주적 사회구조를 생산하기도 했으나, 둘의 관계가 양해와 조화를 이루며 국가의 이익을 위한 협력관계를 유지한 경우, 국가사회의 번영과 융성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이 경험적인 학술연구의 일반적 결론이다.

한편 확대되는 시민권력에 자본권력이 조응하며 사회구조의 합리적 가치를 양산하는 노력을 경주한 경우, 성공적인 복지국가를 위한 사회적 기반이 제공되기도 하였다. 특히 국가의 번영과 융성을 위한 주력산업을 주도하며, 국가발전의 과정에 결정적 역할을 한 산업 및 자본 계열의 기업 엘리트들의 역할은 그 학술적 연구의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아오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국가사회를 향한 그들의 가치형성의 과정은 무엇이며, 어떤 공통요인이 있는지,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 리더들의 특성이 국가의 발전을 위한 공익적 목표에 왜 부합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후발 산업국가들의 발전모델 설정과 이를 주도할 기업 리더들이 지녀야 하는 제반 덕목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