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사업 추진 9년만에 `결실`<BR>생활폐기물·하수찌꺼기 처리
【경산】 경산시와 청도군 일부 지역의 생활폐기물과 하수 찌꺼기를 처리하게 될 경산시 자원회수시설(소각장) 설치사업이 우여곡절 끝에 사업 추진 9년만인 오는 6월말 준공될 예정이다. 이로써 생활쓰레기로 말미암아 빚어졌던 여러 가지 일들이 해결될 전망이다.
경산시 자원회수시설은 총 사업비 499억5천100만원으로 경산시 용성면 용산리 산 38번지 일원 10만4천77㎡ 부지에 민간자본유치사업으로 진행 중이다.
애초 2006년 7월 주민지원기금 40억원과 주민지원사업과 편익사업 50억원 등 90억원의 기금을 경산시가 약속하며 2012년 9월까지 완공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가칭)경산그린주식회사가 준공일로부터 15년간 운영권을 가지는 민간투자제안서를 2009년 9월에야 자원회수시설 민간유치사업 심의위원회가 채택하며 준공기일을 2014년 6월로 연기했다.
또 ㈜태영건설과 함께 50%씩 출자로 경산에코주식회사를 설립해 사업을 이끌어 나가던 한라산업개발㈜이 2012년 10월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공사가 멈추며 준공기일이 연기됐다.
2013년 6월 26일 ㈜태영(50%)이 주관사가 되고 한라OMS(40%), 한라건설(10%)이 참여하는 경산에코에너지주식회사가 새롭게 발족하며 사업을 재개해 그 결실을 6월말 보게 되는 것이다.
경산시 자원회수시설은 매립장에 반입되는 폐기물을 소각 후 메워 사용 중인 위생매립장의 사용기한을 연장하는 효과와 소각 때 발생하는 여열을 회수해 1일 1천875㎾의 전기를 생산·판매해 시설운영비를 절감한다. 또 반입되는 생활쓰레기로 일부 남산면민과 경산시, 쓰레기 수거업체가 그동안 벌여왔던 `힘 싸움`도 종결시키게 된다.
한편 2012년 11월 남산면 주민지원협의체는 반입되는 생활쓰레기에 음식물과 재활용품이 포함됐다며 반입을 거부해 시가지에 쓰레기가 넘치는 등 시민의 불편을 가져왔다.
또한 지난해 11월 7일 잦은 생활쓰레기 반입거부로 업무에 차질을 빚은 수거업체들이 `업무방해금지 등 가처분신청`을 대구지방법원에 제출하는 등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