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산 역사 갈대상자` 김영애 지음 두란노 펴냄, 352쪽
`하나님의 산 역사 갈대상자`(두란노)가 한동대 김영길 총장 퇴임 후에도 한국교계에 교인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책은 한동대 초대 총장 김영길, 김영애 부부가 하나님께 위탁받은 한동대를 제대로 길러내기 위한 애끓는 한동대 양육기로 김영애씨가 펴냈다.
책은 한동대 개교 무렵부터 10여 년 동안 한동대에 역사하신 하나님의 섭리를 섬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사람이 보기에는 너무나 무모해 보였던 학교 출범에서부터, 하나님의 대학이라는 정체성을 공격하는 세상과 힘겹게 싸우며 사십여 차례의 고소고발과 총장·부총장 구속 사태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지은이는 그 숱한 고난의 과정을 마이크로렌즈처럼 또렷하게, 그러나 그 고난 가운데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섭리를 깨달았을 때는 생명수를 찾은 사슴처럼 은혜에 감격하며 이 글을 기록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개인의 삶에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섭리도 놀라운 것이지만 하나님이 그 개개인의 삶들을 움직여서 어떻게 하나님의 사업을 이루어 가시는지 깨닫게 된다. 지금 이 순간 국내 1천500만 크리스천 각자 각자의 중보 기도와 말씀 묵상. 그 실천적 삶이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 아래 놓여 있음을 분명하게 깨닫게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한동대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칼빈대도 증언한 이 시대의 가장 강력한 하나님의 증거물이자 하나님께서 우리 사회에 보여 주시는 분명한 비전이다.
△와! 하나님 굉장하시네!
저자는 본문에서 이렇게 밝히고 있다.
1994년 설교 말씀 중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남편 김영길이 안정된 카이스트 교수의 길을 버리고 하나님의 대학 한동대 총장이 된 이후로 지금까지, 한동대가 하나님 마음에 합한 인재를 양육하는 하나님의 대학이 되도록 온 힘을 다해 남편을 내조하고 있다.
한치 앞도 예측할 수 없는 길이었다. 하지만 그 길은 가장 안전한 길이었다. 나는 길목 길목마다 동행하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수없이 지켜보았다. 그러면서 그분의 손에 이끌려 길을 떠난 사람은 그 길이 아무리 캄캄하다 할지라도 가장 안전하다고 감히 외칠 수 있는 `간 큰 사람`이 되어 갔다. 단 한순간도 우리에게서 시선을 떼지 않으시는 하나님을 경험하면서 나는 탄성을 질렀다. “와! 하나님, 굉장하시네! 정말 살아 계시네!”
지난 10년 동안 한동대와 동행하시는 하나님 이야기를 꾸준히 기록하다가, 때로 너무 서러워서 주님께 삐치기도 했고 때로 감사해서 눈물을 펑펑 쏟기도 했다. 친구와도 잔정이 생겨야 친해지듯 나는 날마다 예수님과 잔정을 쌓았다.
△`한동`이라는 이름에 흔들리다
남편이 학교 관계자에게 물었다.
“학교 이름을 왜 하필 한동이라고 했지요? 기독교 정신을 나타내는 다른 이름도 많이 있을 텐데요.”
나도 속으로 한동은 너무 평범한 이름이라고 생각하던 중이었다.
설립 본부는 학교 이름을 한동으로 정하고 응모자에게 연락을 했다. 어린아이가 전화를 받고는 아버지도 어머니도 교회에 가시고 안 계신다고 하더란다. 아이에게 물어보았다.
“아버님이 뭐하시는 분이시냐?”
“목사님이세요.”
그분은 구룡포 어촌에서 자그마한 교회를 개척하신 우선화 목사님이었다.(지금은 고인이 되셨다.) 교회에서 꼭 써야 할 돈 100만 원이 필요해서 학교 이름을 응모했던 목사님 내외분은 그날도 교회에 가서 그 이름이 뽑히기를 기도하고 있었다는 것이었다.
우선순위에서 밀렸던 그 이름이 이사장의 눈길을 끌었던 것은 목사님 내외분의 간절한 기도 때문이 아닌가! 그렇다면 한동대는 하나님께서 시작부터 개입하시는 대학이란 말인가! 이 이야기에 우리를 크게 감동시켰다. 한동은 더 이상 평범하거나 촌스러운 이름이 아니었다. 우리의 마음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주여 50억 원을!
1998년 7월, 시카고 휘튼 대학에서 코스타 집회를 마친 뒤, 우리는 워싱턴 펠로우십 교회(김원기 목사)에서 주일 예배를 드렸다. 그날 김 목사님의 설교는 소경 바디매오에 대한 것이었다. 목사님은 설교를 하시면서 온 회중에게 제안하셨다.
“누구에게나 간절한 기도 제목이 있습니다. 우리도 바디매오처럼 `다윗의 자손 예수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하고 단 몇 초 동안 기도를 드립시다.”
순간, 우리는 머리 숙여 짧은 기도를 드렸다. 나는 옆에 앉은 남편에게 살짝 물어보았다.
“당신은 무슨 기도를 하셨어요?”
“`하나님! 우리 학교에 돈 50억 원을 주소서`라고 했지!”
역시 그는 학교의 돈 걱정뿐이었다. 축도를 마친 목사님이 말했다.
“몸이 아프거나 절박한 기도 제목이 있는 사람은 이곳 단상 위로 올라오십시오. 제가 기도해 드리겠습니다.”
그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앞으로 꼬꾸라질 듯이 계단 아래로 뛰어 내려가는 사람이 있었다. 남편이었다. 그는 어느새 단 위의 목사님 앞에 제일 먼저 무릎 꿇고 앉았다.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었다. 처음 방문한 낯선 교회에서 그는 체면이나 사람의 눈을 의식하지 않은 바디매오였다.
그해도 다 저물어 가는 연말, 눈이라도 내릴 듯 찌푸린 오후, 우리는 뜻밖의 전화를 받았다. 오래 전부터 잘 아는 기독 실업인 C회장이 한동대에 58억 원을 후원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이었다. 58억 원이라니! 설마 꿈은 아니겠지! 우리는 놀라움과 기쁨으로 어리둥절했다. 나는 학교로 전화를 했다.
“여보세요, 사무처장님! 학교로 58억 원 기부금이 조금 전에 입금되었답니다.… 여보세요? 여보세요?”
저쪽에서 아무 말이 없었다. 잠시 후.
“…네, 저도 은행에서 막 확인했습니다. 우리에게 이런 일도 일어나는군요.”
그는 말을 잇지 못했다. 남편이 절박한 바디매오의 기도를 드린 지 5개월 후에 일어난 일이었다.
지금도 나는 그때를 생각하면 “와” 하고 탄성을 지른다. 그것은 크고 위대하신 하나님을 경험한 감격 때문이었다.
△그리스도와 십자가에 못 박힌 사람
수많은 핍박 속에서도 묵묵히, 그리고 믿음으로, 그리고 겸손하게 대처한 그의 모습은 참으로 거목이었다.
그의 명예와 자존심이 바닥까지 떨어지고 온갖 비방과 억측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그의 모습, 학교와 총장을 비방하는 보도와 유인물들에 속상해 하는 아내 김영애를 향해 그(김영길 총장)는 이렇게 말했다.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우리는 이미 죽은 송장이오. 죽은 송장이 명예 훼손되었다고 벌떡 일어나는 것 봤소? 나는 괜찮아요! 나 김영길이 뭐에 그리 대단한 사람이오? 내 이름이 뭐 그리 중요하오? 몇 십 년 지나면 아무도 내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이 없을 게요. 하나님께서 내 이름을 쓰시도록 올려 드렸는데 그분이 높여 주실 때만 나를 드리고, 낮추실 때는 드리지 않을 작정이었소? 내 이름의 주인 되시는 분이 내 이름을 가지고 볶아 잡수시든지 삶아 잡수시든지 나는 아무 권리가 없소!”
△책을 읽던 한동대학생의 눈물
책을 읽은 한동대 학생은 이렇게 소감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안 울 수가 없었다.
특히 한동대의 첫 입학생들이 불의의 사고를 당하여 죽었을 때, 그 학부모들의 행동들이 나왔던 부분에서는 정말 눈물이 쉴 세 없이 흘렀다.
자식의 죽음이 하나님의 뜻이며 더 큰 일을 위해 희생했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을 보며 믿음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닫게 됐다.
또 정말 그곳에서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이 많이 생겨나 그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았다고 생각 한다. 특히 성운량 회장의 유산을 자식들이 한동대에 기부한 부분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처음 이 기부금은 `효암채플`을 만들고 학생들을 위한 카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기부금을 받고 얼마 후 20억 원의어음이 돌아 온 것이다.
결국 기부금 20억으로 융자를 받아 어음을 막아 내었다.
하나님은 20억 원의 어음을 막을 수 있게 미리 기부금을 한동대로 보내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설명 할 수 없는 신기한 일들이 너무 많이 일어났다.
◆학생 모습에 감동 받은 학부모
학교가 세워져 가는 과정 속에서 일어난 숱한 사건현장을 책으로 읽을 수 있었다. 주민들과 괴청년들이 학교에 쳐들어 와서 총장을 찾으며 행패를 부린 사건이다. 그때 취했던 한동대 학생들의 성숙한 신앙의 모습을 읽고 나는 눈시울을 붉혔다. 그들은 폭력에 폭력으로 대응하지 않고 평화롭게 모든 것이 해결될 수 있기를 기도하면서 질서 있게 대응했다. 쏟아지는 빗속에서 손에 손잡고, 어깨를 두르고 찬송을 불렀다. ♬주는 평화~ 막힌 담을 모두 여셨네, 주는 평화 우리의 평화~ 염려 다 맡겨라, 주가 돌보신다, 주는 평화, 우리의 평화~♪ 참으로 감동적이었다. 아름답고 성숙한 젊은이들에게서 희망을 읽었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