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잔액 1천500억원 모두 사용계획 공개<br> 시민단체 반발로 중단 4개월만에 재추진<br>“조기 사용” “기념비적 사업에” 의견 분분
【경주】 경주시가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 특별지원금 잔액 1천500억원을 모두 사용하는 계획을 다시 추진한다.
지난해 10월 전액 사용계획을 수립했다가 시민사회의 반발등으로 논란이 일자 중단한지 4개월여 만에 재추진하는 것이다.
경주시는 지난 8일 오전 10시부터 열리는 경주시의회 전체의원 간담회에 1천500억원 사용계획을 공개했다.
이번에 경주시가 마련한 1천500억원 사용방안은 지난해 10월 경주시가 마련했던 계획안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용계획을 보면 △원전 방폐장 인근 3개읍면에 530억원으로 작년 계획보다 30억원을 증액했으며, △봉길리 이주민 숙원사업에 20억원을 지원하는 계획을 새롭게 신설했다.
나머지 계획은 지난해 10월 계획과 거의 동일하다. △양성자가속기 사업 지원 200억원, △화랑마을및 아트빌리지 토지매입비 120억원을 편성해 지난해 150억원에서 30억원을 줄였다.
△ 강변로 첨성로~나정교 개설 100억원 △알천북로 알천교~황성대교 확장 65억원, 종합고툥정보센터 35억원 △도시개발비 100억원 △농어업발전기금 30억원, 체육진흥기금 20억원등이다. 이밖에 경주시장학재단 적립금은 20억원을 편성해 지난해 계획보다 30억원을 줄였으며, 읍면동 지역균형 개발비는 260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10억원을 증액했다.
지난 8일 전체의원 간담회에서 시의원들은 현안사업의 중요성을 감안해 조기에 사용하자는 의견과 기념비적인 사업이나 종잣돈으로 사용하자는 의견이 맞서는 모습이었다. 특히 도심권 시의원들은 대체로 상징적이거나 기념비적인 사업에 사용하자는 의견을 많이 제시한 반면, 농촌지역을 지역구로 둔 시의원들은 조기에 집행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엇갈렸다.
시의회 의견이 이처럼 분분한 가운데 지난해 경주시가 이같은 사용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할 경우 주민소환운동을 펼치겠다고 공언했던 경주경실련, 경주지역발전협의회등 일부 시민사회단체의 대응이 주목된다.
방폐장 특별지원금 3천억원을 받은 경주시는 지난 2009년 895억, 2011년 605억원을 이미 사용했다.
/김종득객원기자 imkjd@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