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어린이·청소년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을 조사한 지난해 어린이(6~7세)의 알레르기비염 유병률은 43.6%,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은 20.6%, 천식 유병률은 10.3%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청소년(13~14세)의 경우도 알레르기비염 유병률이 42.6%에 달했고, 아토피피부염과 천식 유병률은 각각 12.9%, 8.3%였다.
이 가운데 2가지 이상의 증세를 보유한 경우를 감안하면 대략 전체의 절반가량이 알레르기비염, 아토피피부염,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을 앓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설명했다.
특히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15년간의 유병률 추이를 조사한 결과 알레르기비염은 어린이가 1.3배(32.6%→43.6%), 청소년이 1.4배(29.8%→42.6%)로 늘었다.
또 아토피피부염 유병률도 어린이는 2.2배(9.2%→20.6%), 청소년도 3.2배(4.0%→12.9%) 수준이 됐다. 다만, 천식은 어린이의 경우 13.6%에서 10.3%로 줄었고, 청소년은 7.9%에서 8.3%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질병관리본부는 어린이의 32.4%, 청소년의 42.7%가 집안에서 흔히 발견되는 집먼지진드기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만큼 청소와 환기, 적정 온도와 습도 유지 등을 통해 실내 환경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또 알레르기 질환의 재발률이 높고 증상이 악화하면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결석과 학습장애, 활동제약을 초래하므로 검증된 치료방법으로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최승희기자shcho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