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두한 경북부울진해양경찰서가 지난 5일 개서식을 갖고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사면이 바다인 울릉도 주민들은 좀 더 가까운 곳에 해양경찰서가 생겨 축하해줘야 하지만 오히려 씁쓰레하다. 해경업무까지 울릉도는 섬이라서 역차별을 받는 느낌이다.동해 중부에는 동해해양경찰서, 동해 남부에는 포항해양경찰서가 해상치안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에 포항~동해시 해안선을 따라 한 가운데 울진해양경찰서가 들어섰다.울진해경은 5개과(12계·1실·1대)와 500t급을 포함한 경비함정 6척, 기존 포항해양경찰서가 담당하던 울진군과 영덕군 소재 4개 파출소를 편입해 경찰관, 의무경찰 등 총 247명, 청사는 울진군 후포면 삼율리에 있다.울진해경은 경북 북부권 동해안인 강원도계와 포항시계 외측 연장선 내해구역, 경북 북부권 동해안의 내측 해역 711.2㎢ 영역을 관리한다. 해안선 길이는 208.6km, 경비구역 직선거리는 53해리(약 98km)이다.울릉도는 광활한 바다를 가지고 있다. 특히 울릉도 동남쪽(일본 방향) 87.4km에는 독도가 있다. 그런데 울릉도에는 해양경찰서가 없다. 동해에서 발생하는 해난 사고, 중국어선 불법조업 등 대부분이 울릉도 또는 독도 근해에서 일어나고 있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울릉도에서 출동하면 시간 단축은 물론 해난 사고의 골든타임인 1시간을 지킬 수 있다. 지금은 울릉도 근해에서 해난사고가 나면 150km 거리인 동해해양경찰서에서 관할하고 있다.문제는 울진해양경찰서가 생기면서 관할이 더욱 복잡해졌다. 관할 때문에 대형사고라도 날 경우 서로 떠넘기면서 오히려 차질을 빚게되지 않을까 우려된다.예를 들어 포항~울릉도 간 여객선 항로 기간 217km 중 50km가 동해해경 관할이다. 이로 인해 여객선 출항시 포항, 동해해경으로부터 출항허가를 따로 받아야 한다. 앞으로 울진해경 구간을 지나게 되면 또 다시 신고를 해야 한다. 더 복잡해진 셈이다.울릉도에 해양경찰서가 있다면 동해안은 동해시, 울릉군, 포항시 삼각을 이뤄 해상치안을 담당하면 지금보다 시간과 경제적 효율성이 훨씬 높아질 것이다.울릉도는 러시아, 중국, 북한, 일본을 아우르는 동해 한가운데 있다. 독도 등 울릉도 인근 해상에 많은 해난사고가 발생한다. 동해에서 출동하면 4~5시간 걸리지만, 울릉도에서는 30분~1시간 이내 출동이 가능하다.해양경찰의 지역적 합리성과 효율적인 접근이 아쉽다. 이미 울진해경이 업무에 들어간 이상 더 이상 할말은 없지만 울릉도 근해에서 대형 사고라도 나면 세월호, 영흥도 낚싯배처럼 늑장 대응이 반복되지 않을까 걱정된다. 울릉도와 독도의 비중을 생각한다면 울릉해경은 반드시 필요하다.울릉/kimdh@kbmaeil.com
2017-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