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수능 이의신청 심사 결과 발표
25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이의신청 심사 결과를 발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오승걸, 이하 평가원)은 심사 대상 51개 문항 모두에 대해 ‘문제 및 정답에 이상 없음’으로 판정했다.
평가원은 지난 13일 수능 정답 가안을 발표한 후 17일까지 접수된 675건의 이의신청을 면밀히 검토했다. 이 가운데 실제 심사 대상은 중복·취소·문제와 무관한 의견을 제외한 51개 문항 509건이었다. 출제 참여 외부 전문가가 포함된 이의심사실무위원회와 이의심사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모든 문항에 대한 정답을 확정했다. 심사 결과는 평가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
특히, 국어 영역 17번 문항은 이번 수능에서 논란이 된 문제 중 하나다. 14~17번 문항은 ‘2026학년도 수능 대비 EBS 수능 특강 국어 영역 독서’에 수록된 ‘인격 동일성에 관한 논의’를 기반으로 출제됐다. 17번 문항은 지문에서 제시한 다양한 철학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보기’에 따른 반응 중 가장 적절한 답을 고르는 문제였다.
이의신청 주요 내용은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에 따르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 동일성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③번 정답은 적절하지 않아 정답이 없다”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평가원은 지문과 ‘보기’를 분석한 결과, ‘생각하는 나’가 의미하는 바는 ‘단일한 주관으로서 지속하는 영혼’이며, 갑의 입장은 ‘생각하는 나’만으로 인격 동일성이 보장되지 않고 신체도 인격 구성 요소에 포함돼야 한다는 점에서 지문 내용과 상이하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17번 문항의 정답을 ③으로 확정할 수 있어 문제와 정답에는 이상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번 발표로 수능 이의신청 관련 논란은 공식적으로 마무리됐으나, 국어 영역 17번 문항을 둘러싼 철학적·논리적 해석 논쟁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수험생 사이에서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