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영주지역 빈 점포 증가, 소상공인·자영업자 어려움 호소

김세동 기자
등록일 2025-11-25 13:49 게재일 2025-11-26 11면
스크랩버튼
원도심 문화의 거리, 환경개선 및 편의시설 확충 한창
의류업계, 인건비 줄이기 위해 가족 매장 운영
문화의 거리가 새로운 단장을 위해 환경개선 사업이 한창이다. /김세동기자

영주 지역의 빈 점포가 증가하면서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이 지역 경기 침체에 따른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한때 영주의 대표 상권이던 원도심 영주동 ‘문화의 거리’도 빈 점포가 눈에 띄게 늘었고, 신도시 가흥택지지구 역시 곳곳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상권 침체가 뚜렷하다.

의류업을 운영하는 A모(57)씨는 “최근 몇 년간 매출이 급격히 줄었다. 임대료는 오히려 올라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인건비 부담 때문에 아르바이트를 쓰지 못하고 가족이 직접 매장을 운영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신도시에서 요식업을 하는 L모(42)씨는 “새로운 상권을 기대하고 창업했지만 예상보다 매출이 낮아 대출 상환도 버겁다”고 토로했다.

오랜 기간 식당을 운영한 K모(60)씨 역시 “최근 몇 년처럼 심한 불경기는 처음”이라며 “상경기 회복이 쉽지 않아 소상공인 설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영주 지역 최근 3년간 일반·휴게음식점의 신규·폐업 현황을 보면 경기 흐름이 뚜렷하다. 일반음식점은 △2023년 신규 140곳·폐업 116곳 △2024년 신규 132곳·폐업 99곳 △2025년 현재 신규 98곳·폐업 67곳이며, 휴게음식점은 △2023년 신규 65곳·폐업 43곳 △2024년 신규 99곳·폐업 46곳 △2025년 현재 신규 51곳·폐업 29곳으로 집계됐다.

사진위 좌부터)상가 지역이 주차장으로 변한 모습. 문화의 거리 일부 상가가 점포 임대 안내문을 내건 모습.  /김세동기자

영주시는 지역 경기 회복을 위해 다양한 시책을 추진 중이며, 그중 하나가 영주사랑상품권 발행이다. 영주사랑상품권은 지난해 말 기준 누적 판매액이 896억원, 올해 11월 현재 110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824억원 대비 약 176억원 증가했다. 할인 혜택이 시민들의 가계 부담을 덜어주며 구매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원도심 문화의 거리는 환경개선과 편의시설 확충 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상인들은 사업 완료 후 상권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하고 있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