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이 총 6680억 원 규모의 2026년도 세입·세출 예산안을 편성해 군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보다 260억 원(4.1%) 증가한 규모다.
회계별로는 일반회계가 5881억 원으로 3.7% 늘었고, 특별회계는 646억 원으로 13.1% 증가했다. 기금은 153억 원이다. 특히 지속적인 노력 끝에 국고보조금을 역대 최대인 2069억 원(7.7% 증가) 확보하며 재정 운용에 숨통을 틔웠다.
내년도 예산안은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주민 불편 해소와 취약계층 복지망 구축 등 ‘민생 밀착형 사업’에 방점을 찍었다. 동시에 저출생 대응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필수 예산도 놓치지 않았다.
분야별로는 사회복지가 전체 예산의 21.2%인 1384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기초연금(503억), 기초생활보장 급여(152억), 노인일자리(79억) 등을 통해 촘촘한 복지 안전망을 구축한다. 환경 및 상하수도 분야에는 1177억 원이 배정됐으며, 국토 및 지역개발에 1027억 원이 투입된다.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도 눈에 띈다. 농업·임업 분야에 872억 원을 편성해 계절근로자 지원, 유기질비료 지원, 청년농업인 정착 지원 등 농촌 활력 제고에 힘을 쏟는다. 군민 안전을 위한 재난방재·안전 분야에는 306억 원을 투입한다. 맨홀 추락방지시설, 급경사지 정비,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 등 재해 예방 사업을 대폭 강화했다.
이외에도 성주3일반산업단지 조성(70억),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주민숙원사업에도 323억 원을 배정해 주민 편익을 증진한다.
이병환 성주군수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지역경제 활력 제고와 민생 안정에 최우선 가치를 두고 예산을 편성했다”며 “주민 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고 살기 좋은 성주를 만드는 데 집중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예산안은 군의회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8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전병휴기자 kr583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