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기업 76%가 “올해 목표 달성 어렵다는 데···”

등록일 2025-11-25 14:15 게재일 2025-11-26 19면
스크랩버튼

대구기업 76%가 올해 내 목표 달성이 어렵다고 한다.

대구상의 2025년 하반기 경제동향 보고회에서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443개 지역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경영실적 및 내년도 전망 결과, 응답기업의 75.9%가 “올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 대답했다. 목표 달성 예상기업은 24%다.

특히 건설업은 미달성으로 응답한 기업이 82.7%에 달했다. 올해도 불과 한달 밖에 남지 않아 지역기업 대부분이 우울한 연말을 맞을 전망이다.

기업의 실적부진 원인에 대해서는 고객사 발주 감소가 63%로 가장 많았고 원자재·부품·물류비 상승과 신규 거래처 발굴 부진, 인건비 상승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 중앙회 대구본부가 지난달 조사한 대구지역 소기업·소상공인 3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서도 대구상의 조사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응답 기업의 65.3%가 “전년 대비 경영상황이 악화됐다”고 대답했고, 개선됐다는 대답을 한 기업은 9.3%에 그쳤다. 기업의 가장 큰 경영애로는 응답기업의 73.7%가 경기침체 및 매출감소라 대답했다.

두 기관 조사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지역기업의 60~70%가 사실상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미국관세 정책 등 글로벌 경기침체와 고물가, 고금리 등 기업외적 경제환경 악화가 기업 경영을 힘들게 하는 원인이다.

특히 중소기업이 많은 대구는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내수부진 장기화, 고금리에 의한 자금 압박 등으로 일부 기업은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대구시가 직접 나서 지역기업의 경영애로를 다시 한번 점검하고 지원책 마련에 나서야한다. 중기대구본부 조사에서 소상공인의 64%가 “시의 지원정책을 활용한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 절반 가까이가 “정책을 잘 몰라서”라 했다. 대구시 정책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개선해 시 정책의 활용성을 높이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지역기업과 지방정부의 모범적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노력도 시도돼야 한다. 그래서 경제발전의 지속 가능한 모델로 정착시켜가야 한다.

2026 지방선거 발언대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