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자 김재욱 ‘사서 심경(四書 心鏡)’ 출간 유교 경전·논어·맹자·대학·중용서 현대인이 새겨야 할 명문장 추려 자신의 해석 덧입혀 쉽게 풀어내
고전은 시간을 초월한 교훈을 전하지만, 원문의 난해함과 방대한 분량은 현대인에게 부담스럽다. 경북 영주 출신의 한문학자 김재욱(고려대 한문학과 강사)이 출간한 ‘사서 심경(四書 心鏡·스토리두잉)’은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책이다.
유교의 핵심 경전인 논어·맹자·대학·중용에서 현대인이 새겨야 할 명문장을 추려내고, 자신의 해석을 덧입혀 쉽게 풀어냈다. 제목의 ‘심경(心鏡)’은 “고전의 지혜를 마음의 거울에 비춘다”는 의미로 고전을 통해 자기 성찰의 기회를 얻도록 이끈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앞서 ‘삼국지 인물전’을 통해 삼국지의 영웅들과 현대 정치인·언론인을 비교 분석하며 화제를 모았다. 조조와 이재명, 유비와 문재인 등 역사적 인물과 현실의 인물을 대비시켜 리더십의 본질을 탐구한 이 작업은 SNS에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그는 “고전이 단순히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를 비추는 창”이라고 말한다. 이번 신작에서도 그 연장선상에서, 수천 년 전 경전이 오늘날 개인의 성장과 사회 문제 해결에 어떤 실마리를 제공하는지 탐구한다.
‘사서 심경’은 각 경전의 핵심 메시지를 4개 장으로 나눠 소개한다.
△논어: 관계의 기술
공자와 제자들의 대화록인 ‘논어’는 인간관계의 기본 원칙을 다룬다. “자기중심적 생각에서 벗어나야 인정받는다”, “무슨 일이든 선은 넘지 말아야 한다” 등의 구절은 타인과의 경계 설정과 겸손의 미덕을 강조한다. 김 교수는 “공자의 말은 단순한 도덕적 교훈이 아니라,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신뢰를 얻는 전략”이라 설명한다.
△맹자: 정의로운 리더십
맹자의 사상은 “백성과 함께 소유하기”, “지도자는 백성의 즐거움과 걱정을 함께해야 한다”는 말로 집약된다. 특히 “어진 정치를 베풀면 백성은 나라에 충성을 다한다”는 구절은 공정과 소통의 리더십을 역설한다. 김 교수는 “맹자의 정치관은 현대 민주주의와도 맞닿아 있다”며, “권력은 국민의 동의에서 나온다는 점이 닮았다”고 덧붙였다.
△대학: 자기 계발의 원리
“세상 돌아가는 원리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한 대학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을 핵심으로 한다. “나부터 바른 사람이 되어야 한다”, “일에는 순서가 있다”는 문장은 개인의 성장이 사회적 영향력으로 이어짐을 보여준다. 김 교수는 “대학은 자기계발서의 원조”라며, “목표를 세우고 단계적으로 실천하는 방식이 현대적 자기관리법과 유사하다”고 평가했다.
△중용: 균형 잡힌 삶의 철학
“마음의 중심을 잡고 남과 조화를 이루는 일”을 강조한 ‘중용’은 극단을 피하는 중용의 미덕을 설파한다. 특히 “남이 나보다 뛰어나서 한 번만에 잘하게 되었다면 나는 백번을 노력해야 한다”는 구절은 김 교수가 학창 시절 한문 학습에 어려움을 겪을 때 용기를 얻은 문장으로, 좌절을 극복하는 마음가짐을 전한다.
김 교수는 “사서는 수천 년 전 책이지만, 오늘날에도 유효한 삶의 기술서”라 말한다. 예를 들어 맹자의 “정직해야 큰 용기를 지닐 수 있다”는 구절은 SNS 시대에 가짜 뉴스가 범람하는 상황에서 더욱 절실하다고 덧붙인다. 또한 “갈등 해결 방식과 마음 다스림”까지 다루기에, 직장인과 청년층에게도 실용적이라는 평가다.
그는 “고전을 읽는 것은 과거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문제를 풀기 위한 지혜를 얻는 과정”이라며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고전을 ‘옛날이야기’가 아닌 ‘내 이야기’로 받아들이길 바란다”고 전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