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내년 6·3 지방선거 후보 경선에서 당원 투표 비율을 현행 50%에서 70%로 상향하는 개정안을 추진한다고 한다. 당원 투표 비율을 늘리는 대신 일반 국민 여론조사는 30%로 낮춘다는 내용이다. 이 개정안을 발의한 당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은 “당세 확장을 위한 결정”이라고 했지만, 누가 봐도 중도층 민심과는 멀어지는 공천룰이다.
기획단은 공천 평가 기준도 개정하기로 했다. ‘당 기여도’, ‘당원 모집 실적’ 등 당 조직 기여도를 공천 지표에 반영하고, ‘출마 준비 과정의 성실성’과 ‘조직 운영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겠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공직후보자 기초자격 평가(PPAT)를 광역·기초의원에 이어 기초단체장 후보에게까지 의무화해 역량 검증을 강화한다고 한다. 각 시도당 공천위원회가 당에 대한 기여도, 후보의 성실성·능력 등의 지극히 주관적인 지표 심사를 통해 컷오프 권한을 강화하겠다는 말로 해석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기획단 의견을 사전에 알지 못했다고 했지만, 지도부 상당수는 공천룰 개정 취지에 동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경선 룰 변경은 당헌·당규 개정 사항이라 최고위를 거쳐 상임전국위원회·전국위원회 의결 절차를 거치는데, 최대 관문인 최고위 통과는 순조로울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국민의힘이 예비후보 경선에서 ‘당심’ 반영비율을 70%까지 높일 경우 투표에 적극적인 강성지지층의 여론이 과다 반영된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일반 민심과는 동떨어진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당내 일각에서도 “선거를 앞두고 외연 확장이 필요한 시기에 왜 그렇게 폐쇄적으로 당이 돌어가느냐”는 불만이 나오는 모양이다. 후보 공천은 당에 대한 기여도가 아니라 ‘민심’에 무게중심을 둬야한다는 주장이다. 틀린 말이 아니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대구·경북을 제외하고 민주당을 이기는 곳이 거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민의힘이 중도층 민심을 외면하고 당원 결집에만 집착하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치명타를 피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