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아이들은 족보를 족발과 보쌈으로 부르며 웃음거리가 되었다. 단어 하나가 가계도와 역사적 기록이 아니라 맛있는 고기처럼 들리는 순간, 우리는 단순한 어휘 오류라고 치부할 수 없다. 그 뒤에는 언어의 깊이가 사라졌고 아이들은 말의 의미 너머에 깔린 맥락을 읽어내지 못하고 있다. 아이들이 단어 뒤에 놓인 역사와 관계 같은 무형의 세계를 놓치는 순간, 우리의 무관심은 반영 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최근 조사들은 아이들의 문해력이 눈에 띄게 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글을 읽어도 뜻을 모르는 학생이 늘고 있고 긴 글을 버겁게 느끼며 요약본에 의존하는 경향이 커졌다. 통계는 숫자로 표현되지만 교실과 가정에서 느껴지는 현실은 훨씬 더 안타깝다. 아이들이 글과 마주할 때 이해와 질문보다 정답과 속도를 우선시하게 된 이유다.
‘빨리빨리’‘즉시’‘한 줄 요약’이 일상이 된 시대에서 글 읽기는 느림과 숙고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영상이 스크롤되고 앱이 순식간에 바뀌는 환경 속에서 글 읽기는 도태되었다. 아이들은 글을 마주했을 때 무슨 말을 하려는가 보다 정답이 무엇인가를 먼저 떠올린다. 그 간극이 문해력 저해의 한 축이다.
디지털 기기의 편리함은 아이들의 글 읽는 힘을 대신하지 않는다. 영상과 앱이 시간을 채우고 어른들은 그것을 ‘학습 효과’로 포장하기 쉽지만 글 읽기는 멈춤과 되돌아봄, 질문과 물음표가 필요하다. 글을 천천히 읽으며 의미를 해석하는 습관은 디지털 스크롤 속에서 쉽게 사라진다.
아이들에게 책을 읽으라고 권하지만 스스로 책을 펼친 적이 적은 어른의 말은 공허하다. 언어는 공급되어야 한다. 아이는 집안의 대화, 독서, 교류 속에서 언어를 흡수한다. 어른이 보여주는 말투와 책 앞의 자세, 질문과 대화가 아이의 언어 세계를 만든다. 이러한 환경이 없다면 아이는 의미 없는 단어의 파편 속에 머물 수밖에 없다.
아이들의 독서량이 줄어들면서 긴 문장, 낯선 단어, 복잡한 문장 구조와 마주할 기회도 사라졌다. 단순히 독서 시간이 적은 것이 아니라 글 속에서 질문을 던지고 의미를 탐색하는 기회가 줄어든 것이다. 글을 읽지 않는다는 것은 글이 제공하는 느림과 여백, 생각의 틈을 포기한다는 의미이다.
교육은 오랫동안 정답을 빨리 맞히는 것에 집중해 왔다. 아이들은 빠르게 선택하고 제출하며 넘어가지만, 읽기는 천천히 질문하고 서술하며 생각을 조직하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 시간이 사라진 환경에서 아이들은 글을 마주할 때 무엇을 읽고 이해해야 하는지 질문조차 하지 못한다.
집안의 언어 환경도 아이의 언어 능력과 직결된다. 대명사로만 말하고 설명 없이 넘어가는 대화가 많다면 아이는 스스로 문장을 완성할 수 없다. 언어는 주입되는 것이 아니라 공유되고 대화될 때 살아난다. 구체적인 단어를 함께 쓰고 무심히 넘어간 문장에 왜 이런 말을 썼는지 묻는 어른이 필요하다.
속도가 미덕처럼 여겨지는 세상에서 아이들은 글을 천천히 탐색할 기회를 갖지 못한다. 숙제, 시험, 학원 평가가 모두 빠르게 해결되며 글 읽는 시간은 설 자리가 없다. 이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문해력 문제는 다음 세대로 이어진다.
독서 태도는 숫자가 아니다. 몇 권을 읽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글을 마주하고 글을 읽을 이유를 제공하며 글을 마주할 동기가 필요하다. 아이에게 무조건적으로 책을 쥐어주고 읽으라고만 말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어른이 옆에서 문장과 단어를 함께 고민하며 질문을 던질 때 읽기는 시작이 된다.
교육과 생활 구조 속에서 아이들은 글 읽는 시간을 허용받지 못한다. 속도와 효율이 미덕인 환경에서 그 행위는 부담으로 여겨진다. 어른들이 이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문해력 문제는 다음 세대로 미뤄질 뿐이다.
아이들이 족보를 족발보쌈으로 알고 사흘을 4일이라 여기는 것은 단순히 웃을 일만이 아니다. 그 안에는 우리 사회의 언어 탐험이 멈춘 흔적이 담겨 있다. 어른이 속도를 늦추고 아이와 함께 한 문장을 천천히 읽어 걸어갈 때 아이의 언어 걸음은 흔들리지 않고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을 것이다.
/김경아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