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유튜브 권력에 휘둘리는 정치

등록일 2025-11-24 16:46 게재일 2025-11-25 19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변창구 대구가톨릭대 명예교수·정치학

‘권력이 된 유튜브(YouTube)’에 휘둘리는 제도권 정치가 한심하다. 합리적 토론과 대화가 이루어져야 할 정치가 극단적 유튜버(YouTuber)에 휘둘려 전쟁을 하고 있다. 정치인들이 유튜브 권력에 기대어 팬덤을 이용하려다가 마침내 팬덤에 종속되어버린 것이 한국정치의 웃픈 현실이다.

정치 유튜버와 정치인은 공생관계에 있다. 편향적 정치 유튜버는 적대와 혐오를 조장해서 수익을 내고, 정치인은 유튜브 팬덤의 지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적 수익이 중요한 유튜버와 정치적 지지가 필요한 정치인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이다. 유튜브 권력이 정치후원금, 공천과정, 전당대회 등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자 정치인들은 그들과의 야합을 서슴지 않는다. 현역 국회의원들이 유튜브에 앞 다투어 ‘얼굴 마담’으로 출연하거나 그들이 요구하는 ‘후보자 면접(?)’까지도 기꺼이 수용하는 까닭이다.

유튜브 권력과 정치권력의 야합은 심각한 문제다. 무엇보다 우려되는 것은 ‘제도권 정치’가 김어준과 전한길로 상징되는 좌우의 극단적 ‘유튜브 정치’에 휘둘리면서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여당 대표 정청래는 여야가 합의한 특검법 수정안에 ‘개딸’들이 반발하자 합의를 파기했고, “내란특별재판부는 위헌소지가 크다”고 지적한 박기승 의원은 팬덤들의 공격을 받자 공개사과 했다. 민주당 의원 64%가 김어준 방송에 출연했다는 통계가 말해주듯이, 그들은 이미 유튜브 권력에 포로가 된 상태다.

야당 대표 장동혁은 또 어떤가? 당 대표 선거에서 전한길이 운영하는 극우 유튜브에 출연하여 강성 이미지를 부각시킴으로써 팬덤들의 지지를 받았다. 경선토론회에서 내년 재보궐선거에 한동훈 전 대표와 전한길 씨 중 누구를 공천할 것인가를 묻는 질문에 후보들 가운데 유일하게 전한길을 선택했다. 자신의 당선이 “새로운 미디어(유튜브) 환경이 만든 승리”라고 스스로 인정하고 있으니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비상계엄이 정당하다면서 ‘윤 어게인’을 주장하는 전한길과 야합하는 당 대표가 보수(保守)를 제대로 보수(補修)할 수 있겠는가?

이처럼 ‘진영의 나팔수’가 된 극단적 유튜브와 야합하는 정치인은 나라의 미래보다 개인의 이익이 우선이다. 여야가 모두 책임의식이나 균형감각을 찾아볼 수 없는 극단적 유튜브에 의존하고 있으니 정치적 양극화와 사회적 갈등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 정치가 전쟁이 된 것은 ‘실력 있는 정치인’이 아니라 ‘싸움 잘하는 정치꾼’들이 날뛰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야 정치인들의 성찰과 반성이 시급하다. 민주당 곽상언 의원이 김어준을 겨냥해서 “유튜브 권력이 정당내부선거, 공천, 국가정책결정까지 좌지우지하며 정치를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한 것처럼, 진정한 정치인이라면 ‘불편한 진실’도 용기 있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우리의 정치는 ‘합리냐, 광신이냐’의 갈림길에 서 있다. 정치인들은 유튜버를 이용하려다가 그의 노예가 되어버린 자신을 돌아보기 바란다. 

/변창구 대구가톨릭대 명예교수·정치학

세상을 보는 窓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