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공업생산 4.5%↑···대구 전자·정밀광학 강세, 경북 금속가공·의료정밀 견인 경북 건설수주 27% 급감···대구는 토목 중심 소폭 증가
대구·경북 지역경제가 3분기 들어 제조업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 흐름을 보였다.
다만 건설·수출·인구 이동에서는 지역별 온도차가 뚜렷해 산업별 구조 변화에 따른 격차가 더 확대되는 모습이다.
동북지방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대구·경북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대경권 광공업생산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5% 증가했다. 대구(9.0%)와 경북(3.4%) 모두 플러스 전환했으며, 특히 경기 하강 압력이 컸던 제조업 전반이 2분기에 이어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 대구, 전자·기계·인쇄회로 등 첨단 업종이 회복 견인
대구지역 제조업은 전자·통신(37.0%), 기계장비(10.5%), 자동차(6.9%)에서 고르게 생산이 늘었다. 최근 자동차 전장·반도체 수요 회복이 지역 부품업계를 중심으로 반영됐고, 정보통신기기 생산도 확대되며 전체 제조업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서비스업생산도 1.6% 증가해 반등했다. 도소매, 보건·사회복지, 금융·보험에서 증가세가 나타났으며 부동산·정보통신 업종의 하락폭은 다소 둔화했다.
눈에 띄는 변화는 소매판매가 5.3% 증가하며 소비심리가 살아났다는 점이다. 승용차·연료소매점, 전문소매점에서 판매가 증가하며 최근 주력 소비 품목의 회복세가 뚜렷해졌다. 백화점·대형마트는 여전히 감소했지만 감소 폭은 완화됐다.
관광·문화 소비도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어 연말 지역 소비 확대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 경북, 금속가공·정밀광학은 호조···1차금속·의약품 부진
경북의 제조업 생산 역시 3.4% 증가했다. 특히 금속가공(23.1%), 의료정밀광학(42.0%), 식료품(10.7%) 등이 지역 제조업의 회복세를 이끌었다. 경북 동해안권에 집중된 철강·정밀소재 업종의 구조개편 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경북 주력인 1차금속(-3.6%), 의약품(-16.6%), 고무·플라스틱(-1.5%) 등 일부 업종은 수출둔화 영향으로 여전히 부진했다.
서비스업생산은 1.4% 증가로 소폭 반등했지만, 소비지표인 소매판매는 0.9% 감소했다. 편의점·잡화점·대형마트 판매 감소가 이어지면서 내수 부진이 반복되는 모습이다.
△ 수출 흐름 ‘정반대’···대구 두 자릿수 증가, 경북 감소세 지속
대경권 전체 수출은 방송기기·철강판 부진 영향으로 3.2% 감소했다. 그러나 대구와 경북의 흐름은 완전히 달랐다.
대구 수출은 14.2% 증가했다. 유기·무기화합물(88.6%), 전기·전자 기타제품(64.0%), 인쇄회로(40.1%)가 급증한 반면 반도체 장비는 일시 조정으로 52.4% 감소했다.
경북 수출은 6.4% 감소에 머물렀다. 이는 방송기기·철강 판류·화학제품 부진에 전통적 주력 업종 중심의 하락세가 누적된 모습이다.
대구의 수출 반등은 첨단 전자·화학 소재 기업들의 투자 확대와 해외 발주 증가에 기반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경북은 포항·구미 등 주력 산업군이 조업조정과 글로벌 수요 둔화 영향을 받으면서 수출 회복세가 제한됐다.
△ 건설수주, 지역별 격차 더 뚜렷··· 경북 대폭 감소
대경권 건설수주액은 전년 대비 19.5% 감소했다. 건축 부진과 공공 발주 감소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대구의 건설수주는 토목 사업이 증가(34.2%)한데다 민간 건축은 부진했으나 전체 수주는 플러스를 보이며 3.9% 증가를 나타냈다.
반면 경북은 건축 부문 부진에 더해 공공 발주 감소 및 대형 프로젝트 감소 영향을 받으면서 27.5% 감소했다.
경북의 건설경기 침체는 포항·구미·경산 등 주요 산업도시의 민간 개발 감소와 공공 프로젝트 지연이 겹친 영향이 크다.
△ 고용 지표 개선··· 대구·경북 모두 고용률 상승
대경권 전체 고용률은 62.4%로 전년동기 대비 0.9%p 상승했다. 대구 고용률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는 증가하고 제조업·건설업 고용은 감소하면서 58.1%(0.1%p↑)를 기록했다.
경북 고용률은 농림어업·서비스업 회복의 영향에 힘입은 데다 제조업 고용도 일부 개선되면서 66.3%(1.5%p↑)로 개선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실업률은 대경권 기준 2.2%로 변화가 없었다.
△ 인구 이동··· 대구는 466명 순유입, 경북은 3900명 순유출
인구 이동에서는 대구와 경북의 흐름이 완전히 갈렸다. 대구는 3분기 466명 순유입을 기록했다. 서구(+1688명), 중구(+1044명) 중심으로 유입이 늘었으며 0~9세·30~40대 가족 단위 유입 이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경북은 영천시·포항 북구·구미 등 산업도시 중심으로, 그중에서도 특히 20대(-2629명) 유출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면서 3932명 순유출을 기록했다.
대경권 지역경제 전문가들은 “대구는 도심 정비사업·교육 인프라 확충 등 도시 기능 회복으로 인구 순유입이 확인된 반면, 경북은 철강산업의 침체 등의 영향으로 일자리를 찾아 청년층의 수도권 이동이 지속되는 구조적 인구 감소가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김진홍경제에디터·황인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