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차 협력업체까지 확산···“연쇄적 감축 모델” 첫 가동
정부가 현대차·기아와 함께 자동차 산업 전반의 탄소감축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하는 공급망 협력 모델을 공식 출범시켰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17일 서울 JW메리어트 동대문에서 ‘자동차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협약식’을 열고 부품 협력업체 87개사(약 200명)와 함께 공급망 기반 탄소경쟁력 강화를 선언했다.
최근 EU 등 주요국이 탄소 규제를 ‘사업장 단위’에서 ‘제품 단위’로 정교화하면서, 부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이 완성차 수출의 새로운 규제로 부상한 데 따른 대응이다.
△ 정부·현대차가 1차 협력사 지원 → 1차가 2차 지원···‘연쇄 감축 구조’ 구축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정부와 현대차·기아가 1차 협력업체의 저탄소 설비 교체를 우선 지원하면, 1차 협력사가 받은 금액을 다시 2차 협력업체 지원으로 환원하는 구조다. 산업부는 올해 LG전자·포스코·LX하우시스·LG화학 등 4개 기업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며, 내년에는 ‘산업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사업’(’26년 신규 예산 반영)을 통해 지원을 확대한다.
중기부 역시 ‘중소기업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 사업 규모를 확대해 중소·중견 부품사의 설비 전환 비용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한다.
△ 현대차·기아, 협력사 감축 실적 ‘배출권 상쇄’로 활용 가능
현대차·기아는 자사뿐 아니라 협력사의 탄소 저감 프로젝트에 투자해 확보한 감축 실적을 향후 배출권거래제 상쇄 배출권(offset)으로 활용할 수 있다. 부품사 지원이 곧 완성차의 탄소발자국 축소로 이어지는 구조다.
협약식에는 산업부 박동일 산업정책실장, 중기부 노용석 1차관, 현대차·기아 정준철·박찬영 부사장, 현대차·기아 협력회 문성준 회장 등 주요 인사와 87개 부품사가 참석했다.
△ “2035 NDC 넘어 산업 전반의 GX 가속화”
박동일 산업정책실장은 “공급망 탄소감축은 어느 한 기업이 단독으로 할 수 없는 과제”라며 “이번 협약이 산업 전반의 그린전환(GX)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중기부 노용석 1차관은 “부품산업 내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만큼 공급망 단위의 선제적 감축 노력이 중요하다”며 지속 지원 의지를 밝혔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기업·정부·공공기관이 함께 만든 실질적 저탄소 협력 모델”이라며 “지속가능경영과 산업 생태계 전환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철강·석화·반도체 등 타 산업으로 확대
정부는 이번 자동차 공급망 사업을 시작으로 전기·전자,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조선 등 주력 산업 전반으로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부와 중기부는 정책·재정 지원을 강화해 국내 산업의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역량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포항지역의 한 전문가는 “정부의 방향성 자체는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도, “포항-경주-울산으로 이어지는 철강 소재 기반 자동차 공급망과 연계된 지역내 주요 부품업체들이 대부분 영세 중소제조업체인 점을 고려한다면, 이들 협력업체들이 그린전환을 위해 투자해야할 설비자금을 비롯한 다양한 장벽들을 무리없이 넘을 수 있도록 정부의 법적·제도적·금융적 지원정책이 꼼꼼하게 뒷받침되어야만 소프트랜딩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